금융노조 23일 총파업 돌입…“금융공공성 무너져 소비자에게 피해 전가될 것”

금융노조 23일 총파업 돌입…“금융공공성 무너져 소비자에게 피해 전가될 것”

기사승인 2016-09-23 15:18:28 업데이트 2016-09-23 15:38:35

[쿠키뉴스=이소연, 심유철 기자]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성과연봉제 도입 저지를 위한 총파업을 선언했다. 

금융노조는 23일 오전 9시부터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서 ‘10만 금융노동자 9·23 총파업 및 전체 조합원 임시총회’를 열었다. 금융노조 추산 5만명, 정부 추산 2만명의 조합원이 이날 총회에 참석했다.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을 비롯해 금융공기업의 조합원이 총회 현장을 찾았다. 대구와 부산, 경남, 제주 등 각 지방은행 소속 조합원도 총회를 위해 상경했다.   

김문호 금융노조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직원들의 업무 능력 및 성과를 등급별로 평가해 임금에 차등을 두는 성과연봉제는 오히려 조합원들의 임금 삭감과 해고를 쉽게 만든다”며 “어떻게든 저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면 금융 공공성이 무너지고 결국 소비자에게 피해가 미치게 된다”며 “사측이 성과연봉제와 쉬운 해고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파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규탄했다. 

관치금융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김 위원장은 “멀쩡한 국책은행을 부실 덩어리로 만든 관치금융을 총파업을 통해 철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총회에 참가한 김모(31)씨는 “성과연봉제 도입은 직원들끼리의 경쟁을 초래하게 된다”며 “팀워크가 생명인 은행에 결국 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A씨(33)는 “현재도 사측에서 펀드, 적금 등의 영업을 강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성과연봉제가 도입된다면 공식적으로 이를 거부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H농협지부 소속의 한 조합원도 “성과연봉제도 문제지만 궁극적으로 관치금융이 철폐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총회는 이날 오후까지 이어지며 추후 파업을 위한 안건 상정, 2차 투쟁선포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앞서 7월21일 은행연합회는 △전 직원 성과연봉제 적용 △임금 격차 최대 40% △성과급 비중 최소 2배 이상 등의 내용을 담은 ‘민간은행 성과연봉제 도입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정부 역시 같은 달 26일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수정, 성과연봉제의 법률적 근거를 마련해 금융노조의 반발을 샀다.

한편, 노동계는 22일부터 성과연봉제에 반대하며 연쇄 파업을 벌이고 있다. 오는 27일 철도노조·지하철노조, 28일 보건의료노조, 29일 공공연맹 등이 총파업을 예고했다.  

soyeon@kukinews.com

사진=박태현 기자, pth@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