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중립금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폭 상승, 올해 1분기 –0.2~1.3% 수준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없이 물가가 안정된 상태에서 자금의 공급과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뜻한다. 실질금리가 중립금리 범위보다 높으면 긴축적, 낮으면 완화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3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 특별 세션에서 도경탁 한국은행 과장은 ‘한국의 중립금리 추정’ 논문을 통해 이같이 추정했다. 팬데믹 이전 중립금리 추정치는 2000년 1분기 1.4~3.1% 수준에서 2020년 1분기 –1.1~0.5%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팬데믹 이후 높아진 결과다.
도 과장은 “중립금리는 추정 방식별로 차이가 크고 정확한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라며 “전반적으로 볼 때 장기 시계에 걸쳐 하락하다가, 팬데믹 이후 하락세가 멈추고 소폭 상승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주요국 중립금리 추정치도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중립금리는 생산성과 잠재 성장 변화, 인구구조 변화, 안전자산 수요 및 공급, 글로벌 중립금리의 파급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과장은 향후 장기적인 중립금리의 향방에 대해 “인구구조 변화, 기후 변화 대응, AI 관련 생산성 변화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제기되고 있다”라며 “글로벌 경제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에 기반한 잠재성장 제고 여부가 향후 추이 관련 핵심 이슈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30일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에서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와 대담 도중 “금융안정을 고려한 중립금리는 물가안정만 고려한 중립금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다”라며 “금융안정도 고려해 중립금리를 추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준범 기자 bluebel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