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文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62.0% vs 부정 32.4% [리얼미터]

文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62.0% vs 부정 32.4% [리얼미터]

최근 상승세 힘입어 3년 평균 지지율, 58.5%… 민주·통합 지지율은 동반 ‘하락’

기사승인 2020-05-11 11:57:17 업데이트 2020-05-11 13:11:26

[쿠키뉴스] 오준엽 기자 = 취임 4년차에 접어들었음에도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은 연일 상승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결과가 11일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YTN의뢰로 지난 어린이날인 지난 5일을 제외한 4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전국 만18세 이상 유권자 2515명(응답률 4.3%)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능력’을 물은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0%p),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가 지난 4월 5주차와 비교해 1.4%p 오른 62.0%(매우 잘함 40.3%, 잘하는 편 21.7%)으로 집계됐다.

반대로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3.0%p 내린 32.4%(매우 잘못함 19.2%, 잘못하는 편 13.3%)로 집계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차이는 29.6%p로 더욱 벌어졌다. 지지율 상승세는 3월 3주차에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뒤집은 후 7주째 이어지고 있다. ‘모름’ 혹은 ‘무응답’으로 답변을 유보한 이들은 1.6%p 증가한 5.6%였다. 

대통령의 국정수행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들이 크게 늘어난 곳은 이번 조사에서 79.8%(부정 15.6%)로 72.7%였던 직전조사결과보다 7.1%p가 증가한 ‘광주·전라’다. 뒤를 이어 대구·경북(TK)이 51.3%에서 54.6%(부정 73.4%)로 3.3%p가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67.5%에서 70.5%(부정 27.1%)로 3.0%p 증가했다.

지지정당별로는 정의당 지지층이 65.5%에서 82.4%(부정 13.1%)로 16.9%p가 증가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어 열린민주당 지지층이 85.9%에서 92.5%(부정 6.9%)로 6.6%p, 기타정당 지지층이 38.2%에서 42.9%(부정 50.8%)로 4.7%p이 늘었다. 다만 무당층은 46.5%에서 40.8%(부정 38.9%)로 5.7%p가 줄었다.

한편 문 대통령 지지율은 임기 첫 국정지지율 조사(2017년 5월 3주차)에서 81.6%를 기록한 이후 2017년 5월 4주차에서 84.1%까지 치솟은 이후 하락했다. 하지만 최근 상승세를 거듭하며 3년 평균을 58.5%로 끌어올렸다. 반면 부정평가는 ‘조국 사태’가 정점을 찍었던 지난해 10월 2주차에 56.1%까지 상승했지만 곧 하락세를 보여 부정평가 평균은 36.4%로 집계됐다.

정당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각각 전주대비 1.5%p와 1.9%p ‘동반하락’하며 각각 43.7%와 26.1%를 기록했다. 민주당의 하락세는 2주간 지속됐으며, 전주와 비교해서는 경기·인천(4.9%p)과 호남(4.2%p), 50대(4.3%p)와 진보층(7.1%p)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졌다.

미래통합당은 6주 연속 30%선을 밑돌며 창당 후 최저치를 다시 경신했다. 주요 하락계층으로는 대구·경북(13.2%p), 보수(8.1%p), 40대(5.5%p)이었다. 이밖에 정의당은 0.9%p가 상승해 5.9%를, 열린민주당은 0.7%p가 증가해 5.3%로 늘었다. 국민의당은 0.8%p 하락해 3.4%, 민생당은 0.1%p 상승해 2.3%롤 기록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강하늘·유해진·박해준 다 모였다…정치물 아닌 액션물 ‘야당’

제목만 보고 소재를 오해하기 쉽지만, 라인업만큼은 화려한 범죄액션물 ‘야당’이 베일을 벗었다. 7일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야당’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류경수, 채원빈, 황병국 감독이 참석했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