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김희옥 비대위원장 거취 고민…친박계 “분당, 대통령 탈당까지 고려”

새누리 김희옥 비대위원장 거취 고민…친박계 “분당, 대통령 탈당까지 고려”

기사승인 2016-06-17 08:24:38 업데이트 2016-06-17 14:39:13

유승민 의원을 포함, 탈당 무소속 7명의 일괄복당결정으로 인한 후폭풍이 거세다.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보름도 안 된 16일 김희옥 새누리당 비대위 위원장은 위원장직 사퇴를 비롯해 거취 문제를 놓고 사실상 칩거에 들어갔다.

일괄 복당 결정을 두고 비대위 쿠데타로 규정한 친박(친박근혜)계의 반발 때문이다.

친박계는 분당과 대통령 탈당까지 거론하며 강력하게 반발하며 새누리당이 다시 내홍에 휩싸이고 있다.

16일 오전 혁신 비대위는 여의도당사에서 무기명 투표를 통해 4·13 20대 총선에서 탈당해 무소속 당선된 7명의 의원에 대해 모두 복당을 허용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이에 유승민, 윤상현 의원을 배제한 선별적 복당을 주장해온 친박계는 크게 반발했고 이에 투표에서 기권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진 김 비대위원장은 김선동 비서실장에게 거취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해봐야겠다고 말하고 17일 예정됐던 고위 당·정·청 회의도 불참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회의는 취소됐다.

무기명 투표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도 일고 있다.

친박계 의원들은 이날 비대위 내부에서 표결이 이뤄진 것은 정진석 원내대표와 비박계 비대위원들이 김 비대위원장을 압박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김태흠 제1사무부총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부 혁신위원들이 비밀리에 쿠데타를 하듯이 복당을 밀어붙였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비박계 비대위원 김영우 의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비대위 전원 합의에 따른 민주적 절차에 따른 결과이자 (위원) 개개인의 양심과 양식의 결과라고 반박했다.

총선 참패 후 이어졌던 당 내홍 및 지도부 공백 사태가 김희옥 혁신비대위출범으로 수습 국면을 맞은 것처럼 보였으나 계파 간 갈등이 다시 한 번 노출되며 비대위의 활동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정진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