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결정에 중·러 “교역 중단 해야…공동 대처 할 수도”

사드배치 결정에 중·러 “교역 중단 해야…공동 대처 할 수도”

기사승인 2016-07-09 10:14:53 업데이트 2016-07-09 10:17:50

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주한미군 배치가 결정된 뒤 중국과 러시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9일 중국 관영 인민일보는 "덕에 의지하면 성하고 힘에 의지하면 망한다"라며 한미 양국이 중국을 포함한 관련국가의 명확한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사드 배치를 결정했다고 비난했다.

신문은 미국이 아시아 안전을 위협하는 "최대 원인제공자"라며 미사일 구축함을 남중국해 황옌다오(黃巖島)와 난사군도(南沙群島)에 몰래 접근시키고 항모 로널드 레이건호 전단을 남중국해에 진입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문은 사드는 위험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한반도 정세에 새로운 위험을 추가했으며 중국을 포함한 지역 국가의 전략안전과 전략균형에 엄중한 손해를 끼쳤다고 지적했다.

사드 배치에 대해 경제적 제재로 대응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8일 사설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된 한국의 정부기관과 기업, 정치인을 제재하라고 촉구했다.

이 신문은 '5가지 대응조치 건의'를 통해 "그들과 다시는 경제관계, 왕래를 하지 말고 중국시장 진출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러시아 외무부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8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러시아와 다른 국가들의 단호하고 지속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한국이 사드 시스템의 한국 배치 합의에 이르렀다"며 "이 행보는 러시아의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밝혔다.

이어 외무부는  "미국은 동맹국들의 지원 하에 아시아태평양지역 글로벌 미사일방어(MD) 전력을 계속해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아태 지역과 그 외 지역의 전략적 균형을 훼손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떤 명분을 대든 그러한 행동은 가장 부정적 방식으로 미국이 그렇게 충실성을 주창하는 글로벌 전략 균형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지역 긴장을 고조시키고 비핵화 과제를 포함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새로운 어려움을 조성할 위험이 충분하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러시아 외무부 관계자는 현지 인테르팍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한국과 미국의 사드 배치 결정에 공동 대응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러-중 양국은 미국의 글로벌 MD 구축 계획과 같은 국제 전략 안정성과 관련한 문제에서 동일한 입장을 취해왔다"면서 공조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지난 8일 오전 11시 "주한미군에 사드 체계를 배치하기로 한미동맹 차원에서 결정했다"며  "양국은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WMD), 탄도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과 우리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한미동맹의 군사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조치로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사드 배치 지역은 경기 평택, 강원도 원주, 충북 음성, 경북 칠곡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빠르면 이달 중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정진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