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는 터키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부 군부 세력의 쿠데타와 관련해 평화적인 안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일제히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국제사회는 유혈사태는 안되며 평화로운 사태 해결과 민주주의가 존중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15일(현지시간) 밤 발생한 터키 군사 쿠데타와 관련 파란 하크 대변인을 통해 “터키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터키에 안정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유럽연합(EU)도 터키가 안정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특히 이번 군사 쿠데타에 대해 유럽연합과 미국, 러시아 등은 민주적인 선거로 선출된 현재 정부를 지지한다며, 군부의 쿠데타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민주적인 선거로 선출된 현재의 터키 정부를 지지한다며, 어떠한 폭력고 유혈사태를 피할 수 있도록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트위터 논평을 통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존 케리 장관과 이번 터키의 쿠데타 사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고, 민주적인 현재의 정부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쿠데타와 관련 터키 현지에 있는 미국인들에게 외출 자제 등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유럽연합도 터키의 민주주의 존중을 강조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재 몽골에서 개최되고 있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에 참석 중이던 페데리카 모게리니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터키가 민주주의를 존중하기를 바란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게리니 대표는 “앙카라와 브뤼셀에 있는 EU 대표단과 계속 접촉하고 있다. 폭력사태가 불거지지 않도록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러시아의 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미국 존 케리 국무장관과의 회담 이후 터키 사태에 대해 “헌법에 따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영국 보리스 존슨 외무장관도 트위터를 통해 “터키에서 펼쳐지는 사태가 매우 염려스럽다. 우리 대사관은 상황을 면밀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