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故 백남기씨 사인 재논의 착수… 위원회 구성

서울대병원, 故 백남기씨 사인 재논의 착수… 위원회 구성

오는 14일 국정감사 해명 계획 앞당겨… 외압 의혹 등 논란 때문

기사승인 2016-10-03 11:32:28

[쿠키뉴스=이은지 기자] 서울대병원이 고(故) 백남기씨 사인에 대해 재논의한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3일 "본래 오는 14일 국정감사에서 해명하려고 했으나 논란이 자꾸 커지고 있어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논의에 들어갔다"며 "(백씨 사인 재논의) 결과를 최대한 빨리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대병원이 발표한 백남기씨의 사인과 사망진단서에 표시된 사망의 종류를 두고 외압 의혹 등이 불거져 나온 때문으로 보인다.

앞서 서울대병원은 지난달 25일 백남기씨의 공식 사인을 사망진단서 상 중간선행사인인 '급성신부전증'이라고 발표했다. 이외에도 '사망의 종류'에서 '병사'로 나타냈다.

백씨 사망진단서에는 선행사인이 급성 경막하출혈, 중간선행사인이 급성신부전증, 직접사인이 심폐기능정지로 돼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해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우석균 공동대표는 백씨 사망 당일 "사망진단서 맨 아래 칸에 쓰는 선행사인을 원 사인이라고 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백씨는 지난해 11월14일 민중총궐기 현장에서 경찰이 쏜 물대포에 맞아 사망한 것이기 때문에 병사가 아닌 외인사가 돼야 하며, 공식 사인도 급성 경막하출혈이 돼야 한다는 것.

이에 서울대 의대 총동문회는 지난 1일 성명서를 내고 "외상의 합병증으로 질병이 발생해 사망하면 '외인사'로 작성하도록 배웠다. 백씨의 사망진단서는 통계청과 대한의사협회에서 제시한 원칙에서 어긋난다"며 "심폐정지는 사망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사인에 기재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onbge@kukinews.com

이은지 기자
onbge@kukinews.com
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