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구현화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외부에서 거센 '해체 요구'에 맞닥뜨리고 있다. '청와대 비선 실세' 최순실(61·사진)씨가 관여한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에 청와대를 대신해 기업에 모금을 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31일 전경련은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설립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들은 "전경련이 추진하는 일이어서 기부하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전경련은 기업으로부터 모금을 부추겨 미르재단에 486억원, K스포츠재단에 286억원 등 총 772억원을 모금했다.
여기에는 삼성(204억원), 현대차(128억원), SK(111억원), LG(77억원) 등 4대 기업이 모두 거액의 기금을 출연했고 이외에도 롯데, 포스코, GS, 한화, 한진, 두산, KT, 신세계, CJ, 부영, LS, 대림, 금호아시아나, 아모레 등 대표적인 기업들이 모두 참여했다.
전경련의 사무국은 2013년부터 이승철 상근부회장이 책임지고 있다. 이 부회장은 미르와 K스포츠재단 기금 모금을 주도한 혐의로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기도 했다.
올해 4월에는 전경련이 어버이연합에 종교단체 이름의 차명계좌를 통해 억대 자금을 지원해줘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전경련은 어버이연합에 2014년 모두 3차례에 걸쳐 모두 1억 2000만원을 송금했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서울중앙지검에 수사 의뢰서를 제출했지만 현재 어떤 조치가 직접적으로 취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1988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을 모금해 대선 비자금 제공, 2002년 불법 대선자금(차떼기 사건) 등에 연루되어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이런 문제점들이 계속 나타나자 국회, 시민단체, 학계 등이 전경련 해체에 나서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연합(경실련)에 따르면 이들은 주요 6대 대기업(삼성, 현대차, SK, LG, 롯데, 한화)에 전경련 탈퇴 의향에 대한 공개 질의문을 보내고 1일까지 응답을 요청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현재까지 경실련에 응답한 곳은 없다"며 "1일까지 상황을 지켜보고 다음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들이 전경련에서 탈퇴하는 움직임이 보이면 전경련의 위상에 큰 타격을 미칠 것으로 보고 기업들에게 이처럼 탈퇴 의사를 계속 물으려 한다"고 말했다.
전경련이 정계 인사들과 유착돼 정치에 적극 개입했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학계와 정계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경제 경영학자 등 학계 전문가 312명은 지난 19일 경실련 강당에서 전경련 해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들은 "전경련은 이미 경제단체가 아닌 정치단체로 변질됐다"며 "정경유착의 통로, 권력의 수금창구로 전락한 전경련의 존재 이유는 이미 상실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심상정 정의당 대표 등 여야 의원 73명이 전경련 자진 해체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심 대표 등은 "민주적 시장경제 확립과 일대 혁신을 위해 전경련의 자진해산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정계에서 전경련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인 건 유례 없는 일이다.
계속되는 해체 요구에 대해 전경련은 공식 입장을 밝히지는 않고 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지난달 24일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OECD 가입 20주년 경제계 만찬'에 참가해 의혹에 대한 어떤 답도 내놓지 않았다. 검찰 압수수색 직후 열린 경제계 보육지원사업 MOU 체결식에서도 입을 다물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해체 요구에 대한 공식입장은 없다"라면서도 "전경련에 대해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므로 수사가 끝나면 혁신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ku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