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1919 건국일’ 명시에 野 “국민 분열·편 가르기” 반발

文 대통령 ‘1919 건국일’ 명시에 野 “국민 분열·편 가르기” 반발

기사승인 2017-08-15 18:13:16 업데이트 2017-08-15 18:13:23

[쿠키뉴스=문대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일을 대한민국 건국일로 명시하면서 정치권에 대립이 불거졌다.

여당인 더불어 민주당은 1919년 상해 임시정부를 건국의 뿌리로 보는 것이 헌법 정신에 맞다면서 보수진영에서 주장해온 1948년 건국론은 헌법정신을 무시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건국 100주년을 불과 2년 앞둔 지금에 우리는 ‘시대의 도전’에 직면했다”며 “갈등과 반목으로 새로운 100년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야당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 헌법 정신을 무시한 ‘1948 건국론’ 주장 등 무의미하고 무책임한 정치나 정쟁을 중단하고 발전적인 비판과 협력을 통해 시대의 도전에 함께할 것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 대변인도 광복절 논평을 통해 “상해 임정이 없었다면 지금의 대한민국 또한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라면서 “임시정부 수립으로부터 시작된 구민주권시대를 지켜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소통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1919년 상해 임정의 법통을 계승해 1948년 대한민국이 건국됐다”면서 “문 대통령이 국민분열과 편 가르기를 유발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여의도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1948년 건국을 견강부회해서 1919년을 건국이라고 삼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며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듯이 1948년 건국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광복절에 집권당다운 면모를 보이며 국민통합의 길을 제시하지는 못할망정 때아닌 친일파 논쟁을 유발하여 진영 간 감정의 골만 깊어지게 해서야 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mdc0504@kukinews.com

문대찬 기자
mdc0504@kukinews.com
문대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