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의 김원배 이사가 18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 ‘MBC 사태’의 향방에 이목이 쏠렸다.
18일 방문진 등에 따르면 김 이사는 이사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2013년 보궐이사로 임명된 이후 약 4년 만이다.
김 이사는 목원대 총장, CBS시청자위원장, 한국무역통상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5년 방문진 이사직을 한 차례 연임, MBC 경영평가 소위원회 위원장도 맡았다.
김 이사가 공식 사퇴하면 방문진은 이사 임명권을 가진 방송통신위원회에 보궐이사 선임을 요청하게 된다. 방문진법에 따르면 총 9명으로 구성되는 방문진 이사진은 여권이 6명, 야권이 3명 추천해 방통위가 임명하도록 돼 있다.
구 여권 추천 인사였던 김 이사의 보궐이사 추천권은 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돌아가게 되고 지난달 초 사퇴한 유의선 전 이사의 후임까지 추천하면 기존 6대 3으로 불리하던 이사진 구성을 4대 5로 역전할 전망이다.
따라서 현 여권과 정부, 언론노조 등이 요구하는 김장겸 MBC 사장 해임 등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다.
노조 총파업으로 방송 차질까지 빚은 MBC는 김 사장 등 전현직 임원 6명이 고용노동부에 의해 검찰에 기소의견 송치되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방문진의 관련 자료 제출 등에 대한 질타가 불거졌다.
이효성 방통위원장 역시 ‘공영방송 정상화’라는 주제를 강조해온 만큼 관련 사태 진행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방통위는 지난달 방문진 사무 전반에 대한 검사·감독에 착수하기도 했다.
이에 반대하는 자유한국당은 ‘방송장악 시나리오’라며 불편한 심기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이날 자유한국당 방송장악투쟁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 언론노조가 삼위일체가 돼 방송장악 시나리오대로 움직이고 있다”며 “정상적인 민주정권의 행태가 아니다”고 현 상황을 비판했다.
자유한국당 방송장악투쟁위는 “사퇴한 이사의 후임 선출 권한은 사퇴 이사 추천권자인 한국당에 있다”는 주장도 내세웠다.
자유한국당 방송장악투쟁위는 “사퇴한 이사의 후임 선출 권한은 사퇴 이사 추천권자인 한국당에 있다”는 주장도 내세웠다.
김정우 기자 taj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