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의원은 앞서 지난 17일 우리은행이 금융감독원 임원, 전 은행장, 국정원 직원은 물론 돈 많은 VIP고객의 청탁을 받고 직원 채용에 특혜를 부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청년 실업이 사회적 주요 문제인 상황에서 특혜채용 의혹이 드러나자 국민의 공분은 커지고 있다. ‘돈과 빽’이 있으면 다른 사람과의 경쟁도 필요 없이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다는 의혹에 격분하지 않을 국민은 없다.
금융감독 당국인 금융감독원은 국민의 공분을 이해한 듯 즉각적인 조사에 나섰다. 특히 우리은행을 넘어 다른 은행에 대해서도 특혜채용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실제 금감원은 지난 18일 내부회의를 통해 특혜채용 조사를 전 은행권으로 확대하는 방침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금감원의 조사 신뢰성이 땅으로 떨어졌다는 점이다. 먼저 금감원의 임원이 해당 의혹에 연루된 상황에서 조사가 성실히 진행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심 의원에 따르면 이미 퇴직한 이상구 전 부원장보와 현재 공개되지 않은 현직 임원 1명이 우리은행 특혜체용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가 진행될수록 추가적인 청탁자가 드러날 수 있는 만큼 스스로 발등을 찍을 수 있는 조사가 성실히 진행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또한 금감원이 자체 채용비리는 물론 임직원의 불법 주식거래 등을 쉬쉬하다 감사원의 감사에서 문제가 드러난 사례도부실 조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올해 7월까지 금감원을 퇴직해 재취업한 26명 중 절반 이상이 금융회사에 재취업 하는 등 금감원과 민간회사 간에 탄탄한 밀월관계도 조사의 신뢰성을 떨어트리고 있다.
따라서 금융권 채용적폐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을 제외한 수사당국이나 공정위, 감사원 등 외부 기관을 통한 조사만이 금융권 채용비리를 뿌리부터 뽑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