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7일 오전 10시부터 낮 12시 50분까지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통신 실무회담을 열었다.
정부 소식통 등에 따르면 이날 실무회담에는 우리 측 남북정상회담준비위원회 운영지원분과에 속한 청와대와 통일부 실무자 3명이 참석했고 북측에서도 통신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실무자 3~4명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서는 정상 간 '핫라인'(직통전화) 개설 장소와 운영 방안, 도·감청 방지 등 기술적 보안 문제 등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내주 중으로 한차례 더 회담을 갖고 핫라인 개설 문제를 최종 확정 지을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초 문 대통령의 특사단 방북 때 정상 간 핫라인을 설치하고 정상회담에 앞서 첫 통화를 하기로 합의했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의 역사는 김대중정부 시절 시작됐다. 지난 2000년 6월12일 첫 남북정상회담 이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뜻을 모으며 회담 사흘만에 핫라인이 설치된 것이다.
다만 김대중·노무현정부 당시 운영된 정상 간 핫라인은 청와대가 아닌 국가정보원과,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사이에 설치돼 운영됐다. 또 비상연락망 성격이 강해 이를 통해 양 정상이 직접 통화한 적은 없었다.
이 핫라인은 대북 강경입장을 보인 이명박정부가 출범한 2008년 이후 남북관계 악화로 단절됐다.
정상 간 핫라인은 우발적 충돌 등으로 남북관계 위기가 고조됐을 때 두 정상이 상황을 정리할 수 있는 최후의 방법인만큼 이번에는 남북 각자의 '집무실'에 설치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연진 기자 lyj@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