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대출시장 양면이 드러났다. 중금리 수준의 개인 간 직접금융 활성화 등 도입 취지에 맞게 영업을 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부동산 PF 등 경기 하락 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는 분야에 대출이 쏠려있었다.
뿐만 아니라 대출이자에 중개수수료를 포함하면 차주가 실제로 부담해야 하는 금융부담이 대부업자에 버금가는 고금리 영업 사례도 확인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P2P연계대부업자 실태조사를 했다. 거래실적과 민원, 제보 등을 감안해 75개사를 선정했다. 점검은 현장 임직원과 직접 면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P2P대출시장은 대형사에 편중된 기형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월말 누적대출액은 2조2700억 원이다. 이 중 상위 10개사 대출 잔액이 전체 61%를, 대출건수는 7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별 대출금액은 5700만원이었다. 중소형사 건별 대출금액이 대형사(4400만원)보다 많게 나왔다. 대형사가 중소형사와 달리 3000만원 미만 신용대출을 다수 취급했기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대출은 신용대출, PF, 담보대출 등으로 나뉘었다. 이중 담보대출 비중이 83%를 나타냈다. 규모가 작은 회사일수록 담보대출을 많이 취급했다. PF와 부동산 담보대출 비중이 전체 66%를 차지했다.
평균금리는 12~16%로 중금리 구간을 형성했다. 플랫폼수수료는 대부분 차입자로부터 대출기관과 무관하게 대출 건별로 3~4%를 취했다. 플랫폼 이용료 등을 감안하면 차주가 실제로 부담해야 할 금액은 대부업자와 유사한 고금리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상위 10개사가 신용대출 85%를 취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3개사는 개인신용대출 98%를 취급하고 있었다.
P2P대출 평균 연체율은 2.8%다. ‘90일 이상 연체율’을 의미하는 부실률은 6.4%다. 대출유형 중 PF대출은 연체율이 5.0%, 부실률은 12.3%를 기록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부실률은 계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다. 75개사 중 10개사는 실제 투자자 손실이 24억원이나 발생했다.
상위 10개사 중 연체·부실률이 높은 2개사를 제외한 나머지 8개사 연체·부실률은 각각 1.1%, 1.7%였다.
P2P연계대부업자는 영세한 곳이 대부분이었다. 평균 임직원 수는 3명으로 조사됐다. 2명 이하인 곳도 50개사나 됐다.
운영현황을 보면 연계대부업자와 P2P업체 임직원이 대부분 겸직을 하고 사업장을 공유하고 있었다. 조사결과 겸직을 하는 곳은 68개사, 사업자을 공유하는 곳은 66개사였다. 사실상 P2P연계대부업자는 사실상 페이퍼컴퍼니인 셈이다.
P2P업체는 평균 임직원이 10.5명이었다. 심사인력 수는 3.7명 수준이다. 중소형사는 1~3명에 불과했다.
재무현황을 보면 대형 연계대부업자는 자산이 평균 488억 원이었다. 중·소형사는 각각 67억 원, 14억 원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연내 P2P연계대부업자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위규 의심업체가 발견되면 현장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가이드라인 개정 등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P2P대출 관련 법률 재·개정을 국회 및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