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를 임의로 올려 부당이득을 취한 ‘얌체’ 은행들이 도마에 올랐다. 은행들은 차주 소득을 잘못 입력하는 등 불합리한 방식으로 금리를 산정해왔다.
금융감독원이 9개(신한·국민·우리·KEB하나·기업·농협·한국씨티·SC제일·부산) 은행을 대상으로 대출금리 산정체계를 점검한 결과 가산금리를 산정·부과하는 방식이 불합리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소비자에게 일부러 고금리를 부과한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이 향후 제재은행을 공개하기로 하면서 관심은 당국 입에 쏠려 있다. 일각에서는 SC제일·씨티 등 외국은행과 유일한 지방은행인 부산은행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형은행에서 발생한 건 아닌 것 같다”며 “지방은행이나 외국은행으로 예상된다”고 귀띔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은행들은 방어전을 펼쳤다. 대출금리 인상에 일단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이들은 당국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부산은행에서 임의로 금리를 올린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금감원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씨티은행 관계자는 “(대출금리 인상에 대해) 드릴 말씀은 없다”며 “(금리를 올렸다고 판단은 할 수 있지만) 금감원이 발표한 자료라 답변할 게 없다”고 말했다.
SC제일은행은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은행들은 대출금리 산정 시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구한다. 가산금리는 은행이 조정할 수 있다. 가산금리를 산출하는 공식도 따로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 고객일 경우 예상부도율도 고려한다.
그러나 금리를 산출할 때 선택하는 요소는 각 은행마다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리를 산출하는 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며 “기업이라면 업체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개인 고객은 소득이 얼마인지 등을 고려해서 샘플링을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득수준과 신용등급이 비슷하면 (금리도) 비슷하게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