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최고 의결기관인 인사추천위원회(인추위)가 특정 단체와 학계에 편중된 밀어주기식으로 구성돼왔다는 주장이 나왔다.
5일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에 따르면 제도가 도입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구성된 8번 인추위에서 수산단체에서는 사단법인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가 5차례, 학계에서는 부경대와 군산대가 7차례 선정됐다.
수협은 수산업협동조합법 제127조의2에 따라 대표이사·상임이사·비상임이사(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한 인추위를 구성하고 있다.
인추위원은 5명이다. 2명은 조합장 비상임이사, 1명은 조합장 중 해양수산부가 추천한 자, 나머지 2명은 각각 수산 단체와 학계에서 추천된 자가 위촉된다.
박 의원은 수협 인추위가 불공정하게 구성됐다고 언급했다. 수산단체와 학계 출신 위원을 선정하려면 이사회에서 1차로 단체와 학교를 지정한다. 이사회 의지에 따라 인추위원 출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291개에 달하는 단체 중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 5차례나 지정됐다.
학계도 마찬가지였다. 수협은 수산 단과대 또는 과 개설학교로 부경대·군산대·전남대·경상대·제주대·한국농수산대학·강릉원주대·강원도립대 등 8개 학교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면서도 선택은 단 한 차례를 빼고는 늘 부경대와 군산대였다.
박 의원은 “수협 최고의결 기관인 이사회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를 구성하는 인사추천위원회부터 혁신이 필요하다”며 “특정 단체와 학계에 편중된 밀어주기식 인사추천위원회를 바라보는 어업인은 수협 신뢰를 상실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향후 수협은 다양한 수산 단체와 학계를 인사추천위원회 구성원으로 참여시켜 어업인으로부터 신뢰받은 조직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