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새마을금고 직원 공금횡령 금액이 300억원을 넘어섰다. 그 중 약 200억원은 여전히 보전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바른미래당 권은희 의원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공금횡령 건수는 59건(308억5100만원)이다.
지역별 발생건수는 서울 13건, 광주·전남 9건, 대구 8건 순이었다. 부산 118억5800만원, 광주·전남 103억6400만원으로 전체 횡령금액 72%를 차지했다.
횡령유형별로는 예금 횡령 (12건·30억2800만원), 대출금 횡령 (9건·37억7700만원), 시재금 횡령 (6건·5억1500만원) 순으로 발생 건수가 높았다.
개별 건으로는 지난해 부산에서 발생한 대출서류위조 사기횡령이 94억9800만원으로 금액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올해 광주·전남에서 발생한 채무관련자 담보물 멸실 등으로 인한 사기가 70억4200만원으로 금액이 높았다.
횡령 손실금 308억5100만원 중 46건(106억2000만원)은 전액 보전됐다. 그러나 194억1200만원(10건)은 아직 보전 중이다.
새마을금고는 주민 자율 협동조합으로 전국에 지역금고 1211개, 직장금고 104개를 보유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주무부처다.
권 의원은 “횡령사건이 이제는 서민 예금까지 손 뻗치고 규모도 커지는 등 더욱 과감해지고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종합적인 원인을 진단하고 관리감독기능 강화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