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흥 소득자들은 자산 증식을 위해 승진과 그에 따른 급여 상승·금융상품 투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들의 가장 큰 저축 목표는 자녀 교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SC제일은행 모회사인 스탠다드차타드그룹은 29일 ‘2018 신흥 소득자 보고서(Emerging Affluent Study 2018) – 번영의 사다리를 오르며’라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7월 한국·홍콩·싱가포르·인도·중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아랍에미리트연합·파키스탄·나이지리아·케냐 등 주요 11개 국가에서 신흥 소득자 총 1만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한국은 서울과 부산에 살면서 월 소득이 400~700만원인 25~55세 1000명이 설문에 응했다.
한국 신흥 소득자 56%는 본인 금융재무 목표와 자산 증식을 달성하는 최우선 전략으로 승진과 급여 상승을 꼽았다.
이는 조사 대상국 평균(43%)을 웃돌았다. 또한 11개 전체 시장에서 금융상품 투자(56%)가 가장 높았던 것과는 대조를 이뤘다. 한국은 승진과 급여 상승에 이어 금융상품 투자(39%)와 창업(25%)이 뒤따랐다.
한국 신흥 소득자 저축 목표 1위는 자녀 교육(27%)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국가에서도 최우선 저축 목표(평균 43%)로 꼽혔다. 다음으로 주택 리모델링이나 더 큰 주택 구입(24%), 휴가(23%), 부모/친척 봉양(21%), 본인 결혼(20%)의 순이었다.
한국 신흥 소득자들은 금융재무 목표 달성을 위해 정기예금(42%)·보통예금(32%) 등 기본적인 저축방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주식투자(16%)·채권투자(11%)·펀드(5%) 등을 활용하는 비율은 낮았다.
한국 신흥 소득자들은 아울러 재무지식과 투자재무적 자문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3%는 재무교육을 받거나 좀 더 수준높은 재무지식을 확보할 경우 금융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54%는 투자재무적 자문을 받는 것이 금융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조사 대상국 평균 (48%)보다 높았다.
이밖에 약 49%는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답변했다.
이 가운데 4%는 부모 세대는 물론 다른 신흥 소득자들과 비교해서도 매우 빠르게 지위 상승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함께 조사한 11개국 중에는 상대적으로 지위 상승 체감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