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새해 물가안정목표를 종전과 동일한 2%로 잡았다. 하지만 이전과 달리 적용기간을 두지 않고 2년에 한 번씩 운영실태를 점검하기로 했다.
한은은 26일 오전 간담회를 열고 물가안정목표를 2%(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준)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우리 경제 중장기적인 적정 인플레이션 수준과 주요 선진국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2%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새해부터 물가안정목표 적용기간을 두지 않기로 했다.
인플레이션 수준과 변동성이 1998년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이후 선진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까지 낮아진 상황이다.
물가안정목표제를 장기간 운영한 다른 국가들도 적용기간을 유지한 경우는 드물고 데체로 운용경험 축적과 함께 적용기간을 특정하지 않은 방향으로 바뀌는 추세임을 고려했다.
실제 미국이나 유로지역, 일본은 물가안정목표 적용기간이 없고 영국이나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등은 적용기간을 형식적으로만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 관계자는 “물가안정목표제를 운용해보니 선진국 수준으로 됐다고 보고 특별한 큰 경제충격이 있거나 바꿔야할 이유가 없다면 적용기간 없이 2%로 간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또 물가상황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대국민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새해부터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연 두 차례 발간하고 총재 기자간담회 등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2년 주기로 물가안정목표제 운영개선에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고 결과를 공개·설명할 방침이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