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금융결제원장 선임을 앞두고 노사가 기싸움을 하고 있다. 물망에 오른 인물을 한은 노조가 반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원장 선임마다 ‘낙하산’ 논란이 끊이지 않은 만큼 금결원 노조도 가세해 부당인사를 막겠다는 취지다.
이에 사측은 “원장 선임은 직무 성격과 후보자 역량을 감안한 결정”이라면서도 “확정된 건 없다”는 입장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결원은 차기 원장 선임에 착수했다. 금결원은 최근 원장후보추천위원회를 꾸렸다. 후보자 공모도 곧 열릴 것으로 전해진다. 13대 이흥모 원장은 오는 4월 임기가 끝난다.
금결원장은 한은 출신들이 줄곧 선임돼 ‘낙하산’ 논란이 있어왔다. 1대부터 13대까지 모두 한은에서 이사 혹은 부총재보를 지냈다. 이 원장도 부총재보 출신이다. 이런 정황을 미뤄 보면 차기 원장도 부총재보 출신이 올 가능성이 크다.
한은 부총재보는 5명(임형준·허진호·신호순·유상대·정규일)이다. 이 중 임 부총재보(5월)와 허 부총재보(7월) 임기가 연내 끝난다. 공직자심의위원회 참석 등을 고려하면 이들은 내달 초 사임한다.
하지만 문제는 후보로 거론된 인물을 겨냥한 반발이 심하다는 점이다. 최근 금융노조가 낸 성명을 보면, 한은 노조는 그가 결격사유가 많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 노조에 따르면 그는 인사전횡 등으로 직원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내부경영 설문에서도 직원 77%가 부정적으로 답한 것으로 전해진다. ‘보내는’ 입장인 한은 노조에서 원장 선임 반대 의사를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금결원 노조도 마찬가지다. 전문성을 갖춘 적임자라도 안팎으로 나온 우려를 무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앞세우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결제원 관계자는 “원장은 지급결제부문과 금융 산업 이해도가 밝아야 한다”며 “전체적인 지급결제 시스템 운영 노하우를 가진 자여야 하는데 그런 역량을 가진 인사가 한은에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원장 추천이나 총회 선임절차 1순위는 결제원 운영여부”라며 “특정 기관에서 (후임 원장이) 온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한은 관계자는 “인사국장 시절에 노조와 마찰이 있어서 (노조가) 반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은 출신 금결원장 선임에 관해서는 “금융기관 지급결제를 최종 결정하는 곳이 중앙은행이고 (업무상)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원장으로) 선임된 부분이 있다”며 “지금 상황에서는 이뤄진 바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