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구진이 에스트로겐과 삼중음성유방암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에스트로겐이 뇌 주변 세포들을 자극해 암세포의 전이와 침습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과학뉴스 전문사이트인 유레카얼러트(eurekalert)에 따르면 미국 콜로라도대 암센터 과학자들이 에스트로겐과 삼중음성유방암의 연관성을 밝혀 이 연구보고서를 암·유전자 전문저널인 ‘종양 유전자(Oncogene)’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삼중음성유방암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 2(인간상피세포 증식인지 수용체 2형) 유전자 등이 없다. 그래서 ‘삼중음성’이라는 이름이 붙게 됐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난소의 여포와 황체에서 주로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이고 HER 2는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유방암의 예후 인자 중 하나다.
연구에 참여한 다이애너 시테이 콜로라도대 병리학과 교수는 암세포가 에스트로겐에 직접 반응하진 않았지만, 뇌의 주요 미세환경 요소 중 하나인 성상세포들이 에스트로겐에 반응하는 것을 확인해 자극된 뇌 성상세포가 암세포의 전이를 촉진하는 저분자 단백질과 성장인자를 생성한 것을 전했다.
연구팀은 에스트로겐의 유도에 따라 뇌 성상세포가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와 ‘표피성장인자(EGF)’를 생성하면 이러한 인자들이 암세포의 전이·침습을 제어하는 세포 내 수용체(TrkB)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을 켠다는 것을 발견했다.
삼중음성유방암에 걸린 여성에 에스트로겐 수용체 억제제를 투여하면 뇌 전이를 차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번 연구결과의 성과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어 연구팀은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뇌로 전이된 암의 치료에 이를 응용하는 방법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암세포 전이의 스위치 역할을 한 Trkb와 eGFR 수용체를 동시에 또는 한 쪽만 억제했을 때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 밝혔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