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희 “수은 부실채권 비중급증…정책금융 위상 재정립해야”

유승희 “수은 부실채권 비중급증…정책금융 위상 재정립해야”

기사승인 2019-03-25 17:09:15 업데이트 2019-03-25 17:09:19

부실 대기업 금융지원 확대가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 건전성을 악화시키고 중소기업 여신을 줄였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유승희 의원이 25일 입수한 자료를 보면 수은 부실채권 비중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부터 올라 지난해 상반기 3.19%를 기록했다. 이는 기업은행이 1%대, 일반은행이 1%미만을 유지해온 것과 대비된다.

수은 부실채권 비중은 지난해말 기준 1.5% 수준으로 줄었다. 그러나 이는 1조4000억원 규모 성동조선해양 부실채권을 상각한 데 따른 것이다. 

유 의원은 "성동조선 채권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셈이어서 국민 혈세를 날렸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이 분석한 KDI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독일, 중국 국책은행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긴급 유동성 지원으로 부실대출비율이 늘었다가 금융위기 이후 2%를 하회하는 수준에서 안정됐다.

하지만 국책은행들은 금융위기 이후에도 부실기업 금융지원이 이어져 부실여신 증가를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 시기 한계 대기업 국책은행 금융지원 비중은 3배나 급증했다. 

반대로 중소기업 대출보증 수준은 낮다. 수은 중소기업 지원 현황은 2010년 25.1%에서 2013-2015년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이는 한계 대기업 금융지원 비중이 늘었던 시기와 맞물린다. 

유 의원은 “중소기업 지원 비중을 점차 늘려 지난해 기준 17%까지 올랐지만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며 지원 규모를 대폭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이어 “한계 대기업 금융지원은 금이 갔을 때 제대로 된 처방을 해야 하는데 우리는 항상 밑 빠진 독에 물붓는 식 여신을 하고 있다”며 “혈세 낭비가 없도록 정책금융으로서 수은이 그간 실패를 되돌아보고 부실대기업 연명을 위한 금융지원보다 중소기업 지원에 나설 때”라고 말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