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스, CRO회사에서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으로 변모

클립스, CRO회사에서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으로 변모

내년 코스닥 상장 추진…윤부세포치료제 1상 완료 후 상장 예비심사 신청

기사승인 2019-05-03 00:17:00 업데이트 2019-05-03 17:24:30

“클립스는 CRO를 기반으로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으로 성장해나간다는 목표다“

지준환(사진) 클립스 대표는 ‘글로벌 CRO 도약’과 ‘신약개발 플랫폼 탑재’라는 두 가지 목표를 내세웠다. 그동안 축적된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바이오 신약개발 플랫폼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는 포부다.

지준환 대표는 클립스에 대해 “국내 최고의 바이오 신약개발 중심의 CRO로 임상시험계획 수립부터 임상 데이터의 분석, 관리, 결과보고 및 인허가 지원을 아우르는 ONE-STOP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라고 말했다. 

특히 회사 역량에 대해 강한 자부심을 보인 그는 “설립 5년의 회사이지만 업계 최고의 전문인력을 기반으로 학계와 연구계 리더그룹과 탄탄한 네트워크가 형성돼 있다”며 “기존 CRO 사업의 지속 성장뿐 아니라 바이오 제약 신사업 추진을 위한 필수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설립된 클립스는 임상시험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당시 국내 CRO 업체 최대 규모인 드림씨아이에스 본부장을 역임한 지준환 대표에게 있어 CRO 서비스는 ‘독보적인 경력과 업력을 바탕으로’ 급성장할 수 있는 분야였다.

특히 백신 분야와 바이오신약 분야에 대한 전문성은 국내에서 손꼽힌다. SK케미칼과 일양약품, 세포치료제로는 코아스템과 메디포스트 등의 유수한 업체 NDA를 모두 담당했던 이력으로 업계에서 바라보는 CRO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이처럼 클립스가 가진 CRO 서비스의 경쟁력은 단기간동안 회사가 급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었다. 클립스는 만 4년째인 지난해 누적 계약고 340억원을 돌파했고, 연매출은 70억원을 달성했다. 대부분의 바이오기업들이 연구에 집중하면서 매출 발생요인이 거의 없는 점과는 차이가 있다. 

CRO 서비스의 활성화에 힘입어 클립스는 좀 더 중장기적인 미래를 바라보게 됐다. 다름 아닌 ‘바이오신약 개발 플랫폼 탑재’다. 실제로 CRO 서비스에서 쌓아왔던 경험들은 신약 개발 분야에도 상당한 이점을 줄 수 있다.

지 대표는 “어떤 아이템이 개발·성공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됐다. 또 CRO 서비스를 통해 일련의 프로세스를 경험을 통해 확실히 습득하고 있어 개발·위기관리능력 모두 전문화돼있다”고 말했다. 

지 대표가 강조하는 부분은 ‘경험을 통한 신약 개발 및 후보물질 라이센스인/아웃’이다. 가능성 있는 후모 물질만을 골라서 라이센스인 하고, 대규모 임상 등이 필요한 시점에 기술수출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물론 끝까지 자체개발할 수 있는 품목들은 그대로 개발하게 된다. 

클립스 다양한 의약품 개발에 참여하면서 습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신약개발에 뛰어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후보물질과 원천기술 몇 가지를 확보했으며, 희귀질환으로 분류돼있는 윤부줄기세포결핍증 치료제 임상을 비롯해 BCG 기반 면역항암제와 치매 백신, 대상포진 백신 등의 플랫폼도 현재 전임상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클립스의 캐시카우이자 힘의 원천인 CRO 서비스도 강화한다. 백신을 통해 글로벌 CRO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가진 지 대표는 다국적제약사와의 협업을 통해 백신을 중심으로 글로벌 임상을 선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미 중국 부창제약과 업무제휴협약을 맺은 클립스는 칭다오 시에서 조성하고 있는 산업단지에 조인트벤처를 설립할 예정이며, 이를 기점으로 중국 영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한편 클립스는 올해 상반기 중 주관사를 선정해 윤부줄기세포를 중심으로 내년 코스닥에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한다. 지 대표는 “각 사업영역에서 순조롭게 업무가 진행된다면 내년 코스닥에 상장할 계획”이라며 “클립스가 가진 고유한 내공을 다지고 성과를 창출해 IPO를 진행할 것이며, 주주의 니즈에 맞출 수 있도록 항상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