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30·40대 연령층 지지율이 평균치를 웃돌면서 3040세대가 대통령 지지기반이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하지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3040세대를 묶어서 지지기반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30대 초반 연령층의 특성과 40대 연령층의 특성에 차이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30대의 지지율은 흔들릴 가능성이, 40대 지지율은 앞으로도 견고할 가능성이 크다 전망했다.
◇ 30대 초반 경제소외…40대 ‘386 운동권’ 영향=통계청에서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0~39세의 실업률은 4.0%를 기록했다. 이는 학생 등이 포함된 15~29세(11.5%)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심지어 정년퇴직 세대인 65세 이상(2.3%)보다 1.7%p 높았다.
20~30대에 걸친 높은 실업률은 청년층의 취업준비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는 이들 세대가 현 정권의 고용‧노동‧경제 정책에 민감하단 뜻이기도 하다.
이에 반해 40대 연령층은 상대적으로 경제‧대북정책보다는 개혁에 대한 관심이 높다. 386세대(1980년대 학생운동을 통해 민주화운동을 경험한 세대)의 바로 다음 세대로 운동권의 영향을 받아 진보성향을 띠는 경우가 많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이제 지지기반인 30대와 40대를 나눠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면서 “노동시장에 아직 진입하지 못한 30대 지지율의 경우 탄력적일 여지가 더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40대는 운동권 세대는 아니지만 관념적으로는 진보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수정당을 지지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범진보적 차원에서 정의당이나 부동층 지지율로 빠질 순 있겠다”고 전망했다.
◇ ‘지지세력의 마지막 보루’ 40대…개혁과제 이행에 후한 점수=‘경제‧북한‧공약’ 여론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유권자의 표심을 좌우하는 세 가지 요소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40대 지지층이 경제성과나 대북안보보다는 공약, 즉 개혁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봤다. 문재인 정권의 검찰‧경찰 개혁 등의 성과가 지난 정권들에 비하면 비교우위에 있다는 것.
배 소장은 “문 대통령 개인의 비리나 최측근의 비리가 드러나지 않는 이상 마지막 지지세력으로 남을 수 있는 세대적 기반”이라고 40대를 소개했다. 그는 “40대는 주로 90년대 학번으로 이들이 2·30대일 때,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당선시킨 주역이다. 노 전 대통령의 정치적 유산이 문 대통령에게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그러면서 “정권 후반으로 가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겠다. 다만 논란과 파행을 겪으면서도 대통령은 개혁과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게 40대의 표심을 붙들어두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정당 일체감 적은 2030세대, 객관적으로 판단할 것”=일각에선 연령층 별로 ‘정당 일체감‘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지율의 증감 크기가 다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정당 일체감은 지지정당의 정책 성과나 과정에 개의치 않고 맹목적으로 지지하려는 성향을 말한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정당 일체감이 젊은 층에게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며 “20대와 30대 초반은 정책 등에 대해 좀더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성향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집권 초기에는 정책에 대한 기대가 있었기에 전체적으로 지지율이 높았다. 지금은 초반보다 기대가 덜해 지지가 떨어진 것”이라며 “통계상으로는 전 연령층의 지지율이 떨어지고 있지 않나. 다만 40대 등 상대적으로 고연령층들은 정당 일체감이 높아 지지율이 덜 떨어진 것”이라고 했다.
엄예림 기자 yerimuhm@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