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폐기물, 생활쓰레기서 40% 차지…“일회용 포장재 부과금 높여야”

포장폐기물, 생활쓰레기서 40% 차지…“일회용 포장재 부과금 높여야”

기사승인 2019-11-05 17:31:51

온라인 쇼핑몰의 과대포장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포장재 부과금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서울 마포구 창비서교빌딩 50주년 기념홀에서는 ‘온라인 쇼핑몰과 소비자가 함께하는 과대포장 턴오프타임 캠페인’(캠페인)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70여명의 소비자와 함께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한국자원순환연합회,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GS홈쇼핑 측이 참석해 과대포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캠페인 현장에서는 먼저 무분별한 포장재 사용이 지적됐다. 양보아 소비자공익네트워크 간사는 “국내 전체 생활쓰레기 중 포장 폐기물이 무려 40%를 차지하고 있다”며 “온·오프라인 구분하지 않고 과대포장 포장재질을 개선범위에 모두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발표한 온라인쇼핑물 7곳의 총 42개 제품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겉포장으로 박스를 사용한 곳은 22개(52.4%)로 조사됐다. 뒤이어 스티로폼 아이스박스 13개(31%), 플라스틱 포장박스 2개(2.4%)로 등이 있었다. 

내부 포장을 사용한 제품은 총 30개로 이 중 아이스팩과 비닐 완충재를 사용한 제품은 13개(31%)로 확인됐다. 부직포를 사용한 제품 6개(14.3%), 종이완충제 4개 (9.5%), 에어캡과 기타 포장재(캔 고정용 랩, 과일포장지)가 각각 2개(4.8%)로 조사됐다. 

비닐 테이프를 사용한 곳은 38개(90.5%)로 조사됐는데, 제품군별로 살펴보면 ▲냉동식품 평균 135㎝ ▲냉장식품 평균 158㎝ ▲상온보관식품 평균 92㎝ ▲화장품 35㎝ ▲소형전자제품 41㎝ ▲생활용품 130㎝ 등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는 생산 및 유통업체의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대안으로 정부 규제강화론을 강조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은 “현재 국내 규제 수준은 선진국 추세와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다”며 “일회용품을 사용하면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모두 손해가 되는 규제와 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어설픈 친환경 소재 개발은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박필환 한국자원순환연합회 사무국장은 “일반 소비자는 비닐은 재활용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이에 아이스팩을 비닐이 아닌 재활용이 잘 되는 종이로 만든 뒤 친환경이라고 홍보하는 기업이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박 사무국장은 “하지만 종이는 물에 약하기 때문에 물이 새지 않게 두유팩처럼 종이 안쪽에 알루미늄 특수 코팅을 하는데 이 소재는 재활용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 사무국장은 “재활용 체계를 전체적으로 보지 않는다면 오히려 재활용을 더 어렵게 만들어 버리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며 “환경적 이익이 발생하는 제품과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오는 제품 또는 포장재를 구분해 소비하는 것이 친환경 소비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한 움직임은 이미 유통업체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이날 캠페인에 참석한 윤호경 GS홈쇼핑 품질연구팀 팀장은 “사용할 수 있는 포장을 할 수 없을까 내부적으로 고민하던 중 아이스팩 대신 생수를 얼려 보존제로 사용하는 방안을 계획했다”며 “또 속옷 포장재로 버려지던 박스 대신 여행 파우치에 넣어서 배송하는 방안 등을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팀장은 “겉포장 박스가 크면 비닐뽁뽁이 등 충전재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박스 크기가 크면 협력사와 논의해 이를 보완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1~3차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덧붙였다.

GS홈쇼핑은 과대포장을 방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주운석 GS홈쇼핑 상무는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협약식을 체결하면서 “온라인 시장은 매년 25%씩 성장하면서 동시에 과대포장 등 부작용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많은 기준을 신설하고 있는 가운데, 부진하지만 앞으로 과대포장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
신민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