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거주 여성의 2명 중 1명꼴인 43%가 ‘몰카’와 같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해 후 대처했다는 응답률은 7.4%에 그쳤다.
3일 서울시는 시와 서울여성가족재단이 지난달 15∼27일 서울에 사는 여성 36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응답자가 1581명(43%)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직접 피해자는 14%(530명)였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의 피해 경험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직접 피해 유형은 ‘원치 않는 음란물 수신’이 4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원치 않는 성적 대화 요구’가 38%, ‘특정 신체 부위 사진 전송 요구’ 30%, ‘특정 신체 부위 노출 요구’ 26%, ‘성적 모멸감이 느껴지는 신체 촬영’ 20%, ‘성적 행위가 찍힌 영상 및 사진 무단 유포’ 17%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해를 보고 신고 등 대응을 했다는 응답자는 7.4%에 불과했다.
특히 직접 피해자의 66.6%(353명)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무대응의 이유로 ‘처벌의 불확실성’(43%), ‘번거로운 대응 절차’(37%), ‘대응 방법 모름’(35%), ‘피해 사실이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31%) 등을 꼽았다.
경찰에 신고한다는 응답률은 ‘성적 모멸감이 느껴지는 내 신체의 일부 또는 나체 촬영 피해’(27.6% 문항에서 가장 높았다.
또 직‧간접 피해 여성 중 “피해 대응이 문제 해결 도움이 됐다”는 응답은 33.6%에 불과했다. 대응을 했음에도 본인이 생각한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았다고 보는 이유로는 ‘가해자에 대한 처벌이 미약해서’(42%), ‘신고내용에 대한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어서’(20.7%)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6%는 디지털 성범죄 발생 원인이 ‘약한 처벌’때문이라고 봤다.
피해 후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는 ‘심리적 불안, 모멸감 등 정신적 스트레스’(27.6%)를 가장 많이 꼽았고,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불안’(23.8%), ‘가해자에 대한 분노’(19.9%) 등이 뒤를 이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로는 메신저(32.3%), SNS(26.1%), 커뮤니티 사이트(25.3%), 이메일(24.8%), 채팅어플(18.6%) 순으로 나타났다. 직접 피해 경험이 비교적 높은 10대에서는 SNS(46.9%), 메신저(40.6%), 채팅어플(26.6%), 온라인 게임(23.4%) 순으로 확인됐다.
한편 시민 모니터링단은 지난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간 12개 사이트를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성범죄 2506건을 신고했다. 유형은 ‘불법 촬영물 유통·공유’가 1256건(34%)으로 가장 많았다. 동의 없이 유포‧재유포(1122건, 30%), 불법촬영물(618건, 17%), 성적 괴롭힘(362건, 10%), 사진합성(255건, 7%), 디지털 그루밍(65건, 2%)이 뒤를 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일상에서 사용하는 SNS 상에서도 성인인증 없이 불법촬영물을 접할 수 있었으며, 특히 불법촬영된 미성년자 사진을 게재하고 판매하거나 1:1 채팅을 통해 유인하는 계정이 많았다.
또 특정 키워드가 아닌 ‘길거리’ 같은 일상적인 단어를 검색해도 짧은 치마를 입고 있는 사진이나 신체부위를 확대한 일반인 불법촬영물이 쉽게 검색됐다. 이는 많은 사람들의 검색을 통해 상단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연예인, 전문 댄스팀, 스포츠 강사, 교복을 입은 미성년자 등의 신체 일부분을 확대, 촬영하거나 편집하여 무차별적인 성희롱과 언어폭력을 일삼는 경우도 많았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