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본인 부담금 비율을 높이더라도 면역관문억제제(면역항암제)의 급여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백진영 한국신장암환우회 대표(사진)는 19일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면역항암제 보장성 강화 어디까지-환자의 효율적 치료 중심으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토론자로 나선 백 대표는 약 10년 동안 신장암 환자의 치료 환경 변화를 거론하며 "생존율이 낮은 신장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 대표는 과거 신장암이 수술 외에는 치료법이 없어 4기 판정을 받을 시 1~2년 후 사망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고 말했다. 이후 암의 생성, 전이의 원인이 되는 신호전달 기전을 억제하는 ‘표적치료제’가 출시되면서 신장암 환자들의 장기생존율이 증가하는 등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났지만, 부작용과 내성 문제로 치료를 지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것.
2015년 새로운 기전의 면역항암제가 나오면서 환자들에게 치료 기회가 넓어졌지만 고가의 비급여 신약이란 한계 때문에 환자들이 약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백 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신장암 환자는 폐암보다 수가 적다는 이유로 적응증도 늦게 받았고, 비급여로 약제를 써야 하는 상황”이라며 “일부 면역항암제 투여환자들은 암 크기가 줄거나 사라져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직장을 다시 다니는 등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이들도 늘고 있고, 4기라면 꿈꾸기도 힘들던 완치율도 1%에서 7~10%로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효과가 좋은 약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도 있다. 진료실에서 의사들은 쓸 약이 없다고 한다. 정말 쓸 약이 없어서가 아니라 고가의 ‘비용’을 감당하면서 치료를 계속할 수 있을만한 약이 없다는 얘기다”라며 “오죽하면 진료를 보러갈 때 옷을 잘 입고 가라고 한다. 월 1000만원이상 드는 약을 권유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와 제약사가 항암제 급여화를 두고 줄다리기를 하는 동안 그 피해는 환자에게 돌아오고 있다. 정부는 약 효과 대비 비용이 적정한지 경제성평가를 하는데, 항암제는 낭비될 수 없는 약제이다. 신약이라도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으면 안 쓴다”며 “신장암 치료 허가를 받은 10가지 약제를 다 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사람마다 맞는 약제가 다른데, 급여 기준에 정해진 약이 다 맞을까. 암환자도 자신에게 맞는 약을 찾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 대표는 “암환자들은 치료의 불확실성을 안고 간다. 오죽하면 강아지 구충제를 먹겠느냐”며 “의학적으로 효과가 증명됐으니 허가가 된 것이다. 환자들의 부담을 더 높이더라도 면역항암제의 급여화가 필요하다. 경제성평가만 따지지 말고 환자들의 삶도 고려해 달라”라 요청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