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말라리아 환자 90%는 5~10월 발생…휴전선 접경지 주의

국내 말라리아 환자 90%는 5~10월 발생…휴전선 접경지 주의

기사승인 2020-04-24 09:41:51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보건당국이 ‘2024년 한반도 말라리아 퇴치인증’을 목표로 말라리아 재퇴치 5개년 실행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말라리아는 열원충(Plasmodium Species)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으로 현재까지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등 총 5종에서 인체감염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고 1970년(15,926건) 정점이었다가 말라리아 퇴치사업 추진으로 환자 발생 감소해 1979년 퇴치선언을 한 바 있다. 그러나 1993년 재출현한 이후 2000년 4142명으로 정점을 보였고, 이후 말라리아 재퇴치사업으로 최근 5년간 연간 400~60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삼일열말라리아는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환자의 90%가 발생한다.

지난해 국내 발생 현황을 보면, 경기 북부 314명(64.7%), 인천 98명(20.2%), 강원 북부 25명(5.2%) 등이었다.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 등을 통해 감염된 사례가 연간 70건 내외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질본은 ‘2024년 한반도 말라리아 퇴치인증’ 계획을 시행 중에 있다. 2020년인 올해에는 인구 10만명당 0.1명으로 환자 발생을 줄이고 2021년부터 0명을 유지해 2024년 퇴치인증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해 환자 조기발견 및 치료, 모기집중방제, 예방 교육‧홍보 및 행안부‧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등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관리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 신속한 진단검사를 위해 20분 이내 진단 가능한 신속진단검사법(RDT, Rapid Diagnostic Test)을 도입 및 보험급여화로 본인부담금을 낮추었고, 적절한 치료를 위해 치료제 용량기준을 ‘하루 1정’에서 ‘체중 당 용량(㎎/㎏)’으로 변경해 실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말라리아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 내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조사 등 매개모기 감시를 강화하고, 매개모기 서식처인 축사 및 환자 다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소규모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환자 발생 시 촘촘한 역학조사를 통한 감염경로 규명과 집중방제 등을 실시해 소규모지역 맞춤형 말라리아 집중관리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휴전선 접경지역 보건소는 군부대와 관군협의체를 구성해 매개모기방제, 환자 완치율 제고 등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도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정은경 본부장은 “제13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았다. 국내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거주 또는 여행할 경우, 특히 해외 말라리아 발생국가 여행 시에는 말라리아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