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유인 우주선 발사…민간 탐사시대 개막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유인 우주선 발사…민간 탐사시대 개막

기사승인 2020-05-31 10:39:02 업데이트 2020-05-31 10:39:05

[쿠키뉴스] 조계원 기자 =민간 우주기업의 우주선이 30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2명을 태운뒤 지구 밖을 향해 발사됐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0)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는 이날 오후 3시 22분(미 동부시간 기준·한국시간 31일 오전 4시22분)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을 쏘아 올렸다고 AP 통신 등 미 주요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외신들의 보도를 종합하면 크루 드래건을 탑재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은 이날 케네디우주센터의 39A 발사대를 통해 발사됐다. 미국 영토 내에서 9년만에 발사된 유인 우주선이다.

크루 드래건에는 NASA 소속 우주비행사 더글러스 헐리(53)와 로버트 벤켄(49)이 탑승했다. 이들은 19시간 뒤 지구 400㎞ 상공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하게 된다.

우주정거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두 사람은 짧게는 1달, 길게는 4달까지 연구 임무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주목할 점은 크루 드래건이 스페이스X의 화물 운반용 우주선을 유인 우주선으로 개조한 우주선이라는 점이다. 

스페이스X는 2002년 5월 6일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으로 ISS 보급 및 상용 인공위성 발사를 주 업무하는 회사이다. 정식 기업명은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oration'이다.

미 매체들은 스페이스X의 우주선을 기반으로한 유인 우주선의 발사 성공을 두고 민간 우주 탐사시대가 열렸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스페이스X는 이번 유인 우주선 발사 성공에 따라 향후 화성 유인 탐사 및 정착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Chokw@kukinews.com

조계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