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해외 입국자가 머무는 임시생활시설 지정을 두고 주민 및 상인들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역사회 감염 우려를 낮출 수 있도록 방역을 강화하고 시설 운영에 소요되는 물품들을 지역사회로부터 조달해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는 방침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국내에 특별한 거소를 가지고 있지 못한 단기체류 외국인에 대해서는 14일간 임시생활시설에서의 격리를 실시하고 있다. 지역사회로 들어와서 관리하는 것보다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조정관은 "이러한 단기체류 외국인의 숫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4월에는 약 88명 정도의 단기체류 외국인이 있었지만 6월에는 하루 약 180명이 넘는다. 현재 7곳의 임시생활시설을 운영을 하고 있지만 주당 300명이 넘는 입국자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확충해야 증가 추세를 반영해 따라갈 수 있다"며 "추가적인 확보에 있어서 지역주민들의 반대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는 입소자로부터의 지역사회 감염 우려, 동네 상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한 피해 우려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그간 이러한 시설들을 운영하면서 약 1만 4000명이 넘는 외국인들이 거쳐 갔지만 지역사회 감염은 물론, 이들에게 식사와 청소를 제공하고 방역업무를 관리인력들 사이에서도 단 한 건의 감염 사례가 없었다"면서 "저희들이 이 부분에 대해 최선을 다해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사회의 지역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이러한 시설을 적기에 확보하지 못한다면 방역당국으로서는 불가피하게 시설격리가 아닌 지역사회에서의 능동감시나 앱을 통한 추적 관찰과 같은 2차적인 방법으로 관리할 수밖에 없다"면서 "그렇게 되면 지역사회 감염 차단 방어막 수준이 보다 얕아지는 문제가 있다. 방역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점을 주민들이 이해해 주시기를 설득하고 설명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시설 운영에 소요되는 여러 가지 부식 등을 최대한 지역사회로부터 조달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시설의 운영이 지역사회 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노력하겠다"며 "시설을 흔쾌히 제공하고 협력해 주신 지자체에 대해서도 정부 차원에서 배려를 해 드릴 수 있는 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