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일본 기업 브랜드의 의류매장으로 들어서는 사람들/ 김희란 기자[쿠키뉴스] 김희란 인턴기자 =광복절이 다가오며 일본 제품 불매운동인 이른바 ‘NO 재팬’이 재조명되고 있다. 불매운동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난 지금, 일본 제품 불매 열기는 여전할까.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한 일본 생활용품 브랜드 매장에는 13일 오전 다수의 사람들로 북적였다. 이들은 공책, 펜 등의 문구류부터 서랍, 가구 등의 인테리어 용품까지 다양한 제품을 살피는 모습이었다. 장바구니를 들고 문구류를 쓸어담는 사람도 있었다.
일본에 본사를 둔 한 신발 매장도 마찬가지였다. 직원들은 매장 내 가득한 손님들에게 맞는 사이즈의 신발을 가져다주기 위해 분주히 뛰어다녔다. 매장 점장 A씨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시작된 후 매출이 줄긴 했다”면서 “(불매운동)초반에는 손님이 눈에 띄게 확 줄었지만 요즘은 손님이 꾸준히 오는 편이다”라고 전했다.
NO 재팬에 대한 시민들의 의지는 다소 수그러든 듯 보였다. 일본 기업 브랜드 의류업체 매장에서 만난 윤모(50)씨는 “불매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진 않지만 굳이 일본제품을 사진 않는다”면서 “그냥 보기만 할 것”이라고 말끝을 흐렸다. 또다른 시민 박모(37·여)씨는 “일본 맥주는 피하는 등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다”면서도 “일본 제품이 가격은 저렴한데 품질이 좋아 가끔 사러온다”고 말했다.
사진=일본 기업 브랜드 생활용품 가게에서 사람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김희란 기자다만 통계는 현장 분위기와 달랐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는 지난 12일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대한 8월 소비자행태조사’를 발표했다. 지난달 13일부터 같은 달 16일까지 전국 만20세에서 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해당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5%나 현재도 여전히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고 답했다. 불매한 경험이 있는 제품으로는 패션이 5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류(43%), 생활용품(37%), 문구류(29%) 등이 뒤따랐다.
NO 재팬 운동은 지난해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반발로 촉발됐다. 지난 2018년 10월 한국 대법원은 일제 강제동원 가해기업인 일본제철에 피해자 한 명당 1억 원씩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일본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지난해 8월 수출품 규제 면제국 명단인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했다. 반도체 제조에 핵심적인 3개의 필수 품목들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이에 대한 반발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했다. 지난해 국내 일본 기업 매장 다수가 줄줄이 문을 닫거나 아예 한국에서 철수하는 등 실제 일본 기업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그러나 지난해에 비해 '닌텐도 스위치'나 일본 담배 등 일부 제품은 오히려 판매량이 크게 늘어 "선택적 불매운동"이라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양학부 교수는 “일본제품 불매운동 분위기가 사그라든 건 사실”이라면서도 “일부 사람들이 일본제품을 구매한다고 해도 불매운동이 끝난 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불매운동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하나의 ‘문화운동’처럼 정착돼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