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버리펀드 정치권까지 확대…금융권 “같은 펀드 아냐”

디스커버리펀드 정치권까지 확대…금융권 “같은 펀드 아냐”

기사승인 2022-02-10 11:42:44 업데이트 2022-02-10 13:13:16
(왼쪽부터) 장하성 신임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상조 공정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제공

환매중단 사태를 빚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관리하는 사모펀드에 장하성 주중대사(전 청와대 정책실장)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자금을 투자했던 것이 알려졌다. 이 펀드는 장 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대표가 만든 것이다. 때문에 정관계를 중심으로 특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다만 사모펀드에 단순투자했다고 해서 그것이 위법적 요소가 있는 것은 아니기에 정재계 거물들이 투자했다는 사실만으로 비난하기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장하성 대사와 김상조 전 실장이 투자한 펀드(개방형 펀드로 추정)는 개인 투자자가 자금을 넣은 펀드와 무관하다고 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장하성 주중대사와 김상조 전 정책실장이 환매중단 사태로 논란이 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고 있는 사모펀드에 각각 60억여원과 4억여원을 본인과 가족 명의 등으로 투자했던 것이 드러났다.

장하성 주중대사와 김상조 전 실장이 해당 펀드에 투자한 사실이 밝혀진 것은 경찰 수사로 확인됐다. 지난해 7월 경찰은 디스커버리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펀드 투자자의 이름과 투자금액이 적힌 PC파일을 확보했다. PC파일에는 장하원 디스커버리운용 대표의 형인 장하성 중국대사 부부가 2017년쯤 약 60억원을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비슷한 시기에 공정거래위원장에 취임한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또한 해당 펀드에 4억여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조사 결과 장 대사와 김 전 실장 등 유력 인사들이 투자한 펀드는 중도에 입출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개방형 펀드’ 구조였다. 이에반해 대다수 일반인 피해자들이 투자한 펀드는 만기 전엔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였다. 또한 펀드 판매 규모가 급증했고,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에서 대규모로 판매한 것이기에 특혜 논란이 불거졌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일부 논란을 두고 자산운용사 펀드 구조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한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서 뉘앙스를 보면 같은 펀드에서 개방형과 폐쇄형이 나눠진 것처럼 보도했으나 사실 자본시장법 상 불가능한 구조다”며 “아마 동일 펀드가 아닌 다른 펀드에 자금을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사모펀드업계 관계자도 “아무리 사모펀드라도 자산운용사들의 다루는 펀드는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다”라며 “일반투자자가 자금을 넣은 펀드가 아닌 다른 펀드에 투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이 운용에 개입한 것이 아니라면 단순히 투자를 한 것은 법적 책임과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도 “우리가 판매했던 것은 폐쇄형 펀드이지 장하성 대사나 김상조 전 실정이 투자한 펀드와는 다르다”고 반박했다.

한편 논란이 커지자 장하성 대사는 입장문을 통해 “펀드 가입과 관련해 공직자윤리법 등 법률 위반 사항이 없다"며 "펀드 손실을 보전받은 바도 없다”며 “정책실장 취임 후 주식 보유와 매각, 펀드 보유 관련 사항을 모두 반영해 재산신고를 적법하게 했다”고 해명했다. 

김 전 실장 또한 “공직에 몸을 담았던 사람으로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저는 공직자 재산 등록시 투자 내역을 성실히 신고했고, 공직자로서 관련법령상 의무를 위배한 바 없음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