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고의 화가 박수근(1914~1965)은 일제강점기 강원도 양구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다. 그는 양구보통학교 시절부터 뛰어난 그림 실력을 보인다. 수근은 어머니의 죽음으로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나 조선미전에 입선, 작가로서의 꿈을 키운다.
박수근의 아버지는 양구를 떠나 강원도 김화군 금성읍내에 정착하여 시계포를 열어 생계를 꾸리는데 그 시계포집 윗집이 금성의 부자 김복순(1922~1979)의 집이었다. 김복순은 춘천여고를 나온 신여성으로 춘천의 의사 집안과 혼담이 오가고 있었다.
그런데 김복순에 반한 아랫집 청년 박수근이 상사병에 걸려 드러눕고 만다. 박수근 아버지는 이런 아들을 위해 윗집에 통사정을 하나 김복순의 아버지는 요지부동이다. 하지만 김복순은 아버지가 일방적으로 맺어준 남자와의 결혼이 싫었던 차에 박수근의 부드러운 태도와 수려한 용모에 반해 마음이 움직인다.
이들은 결혼했다. 두 사람은 금성감리교회에 다니며 오붓한 가정을 꾸리나 남북이 갈리면서 금성은 공산 치하가 됐다. 부부는 조선민주당 조만식 선생을 지지하고 각기 면과 군 대의원이 된다.
그러나 6.25전쟁이 발발하고 부부는 쫓기게 된다. 산속 깊이 숨어 피난 생활을 하던 부부는 김복순의 권유로 우선 박수근을 남으로 탈출 시킨다. 그리고 김복순도 아이들을 데리고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고향 강원도 금성을 빠져나온 김복순은 어린 아들딸과 함께 경기도 안양피난민수용소에 수용된다. 수용소에선 움막조차 없어 맨 땅에 거적을 깔고 자야했다. 다행히 그곳에서 금성보통학교 남자 동창을 만나 아이들만 그 움막에 신세지는데 동창의 아내가 두 사람의 관계를 의심한다.
<6회>
김복순의 금성보통학교 동창 조인태는 자신의 아내가 그녀를 탓하자 쩔쩔 매며 좁은 움막 안을 서성였다.
“이 사람아 왜 그러는가. 박수근 선생 봐서라도 당신이 좀 이해해 드려야지. 여자 혼자 어린 자식 둘 데리고 38선 넘기가 오죽 어려웠겠어. 김 선생님 죄송합니다. 사정이 여의치 않다보니 집사람이 좀 과민했습니다.”
김복순은 놀란 아들 성남이 품안으로 안기자 그를 감싸며 부부의 시선을 피했다. 네 살 성남과 일곱 살 인숙이 추위를 피해 조인태의 움막에서 자는 것만도 늘 황송했는데 자신의 가족 때문에 그들 부부가 분란이 일었으니 낮을 들 수 없었다.
“당신 혹시 학교 다닐 때 저 여자 좋아한 거 아니에요? 그렇지도 않다면 왜 안 내보내고 이러고 있는 거예요.”
여자가 앙칼지게 따져 물었다. 화가 난 조인태가 밥상을 걷어찼던지 그릇 구르는 소리가 들렸다. 복순은 두 아이를 안고 움막을 빠져 나왔다. 임시 난민수용소가 된 학교 운동장에는 움막들이 들어서 집단 주거지가 되어 있었다.
움막마다 아이들이 춥고 배고프다며 아우성을 쳤다. 복순은 내일은 어떻게든 한강을 도강해 남편 수근이 있는 동대문 창신동으로 가리라고 다짐했다.
이튿날.
복순은 한강 철교가 보이는 너섬(여의도) 샛강 변에서 자갈을 줍고 있었다. 안양피난민수용자들을 관리하던 군인들이 강제노역을 시켜 새벽 같이 안양역 뒤 수용소를 나와 해 뜰 무렵 그곳에 도착한 복순이었다.
‘죽으나 사나 저 철교를 건너야 한다. 그런데 건널 방법이 없으니 이를 어쩌면 좋은가.’
그렇게 고민하고 있을 때 멀리 샛강 물에 배추를 씻는 아낙네들이 보였다. 김장철이 다가오고 있었다. 복순은 다가가 말을 건넸다.
“아주머니, 저 철교를 건너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남편이 동대문에 있어 만나러 가야 하는데 방법이 없어서요.”
“도강증이 있어야 해요. 도강증 없이 몰래 건너다 총 맞아 죽을 수 있어요. 이북 피난민이신 것 같은데...쉽지 않을 거예요.”
그때 웬 중년 남자 몇이 다가왔다. 멀리서 그들의 얘기를 들은 눈치였다. 얼굴이 넙대대한 한 사내가 복순의 몸을 위아래로 훑었다. 헤진 저고리와 치마, 상거지나 다름없는 몰골의 복순이었다. 그럼에도 복순의 귀태는 숨길 수 없었다.
그 중 비교적 점잖아 보이는 남자가 말했다.
“아주머니, 제가 잘 아는 트럭 운전수가 있는데 그 친구와 교섭 잘 하면 건널 수 있을 겁니다.”
그 남자의 얘기에 복순은 벌떡 일어나 매달렸다.
“정말요? 아이구나 세상에. 아저씨 목숨 살려주시는 셈 치고 부탁 좀 드릴게요.”
“한데 2만원은 달라고 할 건데...아무튼 밤에 여기로 다시 나와 보시우.”
그날 밤 9시쯤 복순이 다시 왔을 때 사내가 트럭 운전사와 나와 있었다.
“돈은 있습니까?”
“아저씨, 제 남편이 창신동에서 제 남동생들과 사는데 화가입니다. 먼저 피난을 나왔어요. 돈이 없습니다만 제발 좀 건너 주십시오.”
트럭운전사는 미심쩍은 얼굴이었으나 사내가 사정이 딱해 보였던지 한마디 했다.
“그러면 안양수용소에 자녀들이 있는 거지요?”
“그럼요, 그 아이들 두고 제가 어딜 도망가겠습니까? 남편 만나면 다시 데리러 와야 합니다.”
사내는 트럭운전사 들으라고 그런 질문을 한 듯 했다. 더구나 사내는 되돌아와 갚으라며 선뜻 2만원을 내주었다. 복순은 하나님이 보내준 천사를 만났다고 생각했다.
트럭운전사가 복순에게 도강증을 건넸다. 복순과 같은 동승 아주머니 한 사람이 더 있었다. 트럭이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임시 가설된 철교 위를 천천히 달렸다. 강물은 시커멓다.
운전사는 그들을 남대문 인근에 내려줬다. 허기로 식은땀이 났다. 아침에 보리밥 조금 먹은 것이 다였다.
오종종하고 수다스러운 동승 아주머니가 “어차피 통금에 걸려 동대문까지 못가니 자기 집에서 자자”고 했다. 참 고마운 분이었다. 그 아주머니를 따라 걷는데 불쑥 그가 가락국숫집엘 들어갔다. 입 안에 침이 저절로 고였다. 한데 그가 두 그릇을 주문하다가 복순을 바라보며 돈이 있냐고 물었다. 없다고 했더니 “그럼 한 그릇만 주세요” 했다. 그는 볼이 미어지게 국수를 입 안으로 집어넣었다. 그리고 국물까지 마시고 나서 말했다.
“우리 집에서 자려면 하룻밤 400원은 줘야 해요.”
복순은 사정사정하며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남동생이 창신동에 사는데 1사단 육군 중사이고, 남편 박수근이 화가라는 얘기를 했다. 돈 떼이진 않겠다 싶었던지 후암동 어느 산자락 판잣집으로 데려갔다. 하지만 배가 고파서 잠이 오지 않았다. 그렇게 복순은 뜬 눈으로 밤을 새다시피 했다.
오전 7시. 복순은 청량리로 향하는 전차를 탔다. 그 아낙이 돈 받을 양으로 동행했다. 복순은 동대문 국제택시 부근에서 동생 집을 수소문했다. 육군 중사이고, 장모를 모시고 산다고 했다. 키가 큰 매형도 같이 산다고 했다.
두어 시간을 그렇게 수소문 하고 다니다 웬 할머니 한 분이 “아 그 멀대 같이 큰 양반의 처인 갑네”하더니 아담한 한옥 대문 앞으로 복순을 이끌었다. 대문을 지나 중문을 열자 올케가 두 눈 동그랗게 되더니 안으로 뛰어 들어가며 소리쳤다.
“강원도 금성에서 시누님 오셨어요!”
그 소리에 박수근이 뛰어 나왔다. 두 사람은 ㅁ자 집 마당 한 가운데서 얼어붙었다.
수근이 눈물을 주르르 흘렸다. 복순은 눈물도 나오지 않았다.
“어젯밤 당신 꿈을 꾸었소. 지금 꿈속의 꿈을 꾸고 있는 건 아닌 거겠지.” <끝>
전정희 편집위원 lakaja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