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를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면서 소비자 물가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업계는 당장은 중동 전쟁에 따른 리스크가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후폭풍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는 모양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유가 상승 여부가 향후 유통·식품업계 시장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유가 흐름은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하락에 직결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실제 통계청에 의하면 지난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 하락했다가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지난달 3.7%(지난해 동월 대비)로 치솟았다.
이번 전쟁 발발로 국제유가는 4% 급등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3.59달러(4.34%) 오른 배럴당 86.3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하마스 공격의 배후에 이란이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면서 중동으로 전쟁이 확전되면 원유 수송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심려에 유가가 급등했다.
현재 기업들은 국제유가 등 원부자재 가격 변동 추이를 면밀히 살피고 있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당장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이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어오면서 원부자재 가격 관련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기 때문에 이번 사안도 예의주시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불경기 상황에서 가격인상이 이뤄질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만큼 가격 정책에 있어 신중한 접근을 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식품업계에서는 제품 가격을 많게는 2~3차례 인상한 바 있다.
다만 일부 기업들은 본격적으로 가격인상을 시행하기도 했다. 이미 맥주와 우유 가격 등이 이달을 기점으로 일제히 인상됐다. 업계에서는 가격 인상이 본격화될 경우 외식을 자제하는 소비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걱정이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불경기 시절인 만큼 가격인상이 굉장히 조심스럽지만 원부자재뿐만 아니라 각종 제반 비용이 전반적으로 다 상승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가격 정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곧 연말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이르면 10월 내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