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 휴가철 고령층 운전자를 중심으로 ‘졸음운전 주의보’가 발령됐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이사장 김희중)은 최근 5년간(2020~2024년) 여름 휴가철(8월)에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 8만4742건을 분석했다.
이 분석 자료를 쿠키뉴스가 확인한 결과, △20대 운전자 렌터카 △40대 운전자 음주운전 △60대 운전자 졸음운전 등과 같은 나이별 교통사고 원인을 보여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 휴가철은 무더운 날씨, 열대야로 인한 수면 부족과 피로감 때문에 졸음운전에 주의해야 한다.
나이별로는 60대 운전자의 졸음운전 사고가 22.4%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8월은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가장 잦았다.
여름 휴가철 렌터카 교통사고에서는 운전경력이 상대적으로 짧은 20대 운전자에 의한 사고(26.3%)와 사망자(44.0%)가 가장 많았다.
20대 렌터카 운전자는 다른 나이에 비해 야간사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휴가철 사고의 7.0%를 차지하는 음주운전 사고는 40대 운전자가 21.6%로 가장 많았다.
사고의 19.3%가 22~24시에 발생,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현철승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 센터장은 “렌터카나 카셰어링을 이용하는 젊은 층의 경우 본인의 운전 실력을 과신하지 않는 신중한 운전이 중요하다”며 “모든 운전자는 음주운전은 물론 숙취 운전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여행을 위한 장거리 운전 시에는 규칙적인 휴식과 여유 있는 운행계획이 필요하다”고 안전운전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