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뉴스=정진용 기자] 정부가 북한의 무수단(BM-25)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로 추정되는 발사체 1발을 발사한 데 대해 강력하게 규탄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해 "만약 김정은 정권이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추가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에는 아마 미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이를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자 동북아 및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주요국들과의 긴밀한 협의 하에 북한의 금번 도발에 대한 안보리 차원의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며 "북한 정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 및 압박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미국 등 우방국을 중심으로 이번 발사에 대한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추진하는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박 대통령은 "북한은 김정은이 추가 핵실험 실시를 수차례 공언한 데다가 최근 핵탄두 공개와 대기권 재진입 모의시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등 일련의 도발을 감행하면서 핵위협을 더욱 고조시켜 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4차 핵실험 이후 북한이 유례없이 강력한 안보리 제재를 받고 있다는 점을 언급한 뒤 "북한이 만약 추가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에 대한 노골적인 정면 도전이자 도발 행위"라고 지적하며 "우리는 북한이 과거 3년여 주기로 핵실험을 해온 것과는 전혀 다른 엄중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군에 "군은 북한의 핵실험 징후 감시를 더욱 강화하면서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즉각 응징할 수 있는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바란다"면서 "미국의 맞춤형 확장억제 능력을 포함해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정부 각 부처는 이 엄중한 상황 인식 하에서 소관 업무를 철저하게 수행해 나가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jjy4791@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