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2일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중 한 곳을 택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한 방안에 대해 “공약파기한 것이 아니다”라며 “약속을 지켰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동남권 신공항 공약 파기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 대변인은 “신공항은 여러 가지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려진 최적의 결론으로 알고 있다. 신공항 공약파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김해공항 확장은 사실상 신공항으로 동남권 신공항이 김해공항 신공항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대변인은 “저희 입장에서는 피하지 않고 약속을 지켰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확장을 단순히 ‘비정치적’인 경제적 결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어느 한 곳을 선택해 지역 갈등이 깊어질 것을 우려한 청와대가 비판 여론을 의식, 우회로를 택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황교안 국무총리도 “김해 신공항은 현재 김해공항을 보강하는 차원을 넘어선 영남권의 거점 신공항 건설이 될 것”이라며 최종 탈락한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대해선 “아쉬움이 있겠지만 관련 지자체들이 합의한 방식에 따라 충분한 검토를 거쳐 최종 결과가 나온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결과를 수용해 주길 바란다”고 언급해 갈등을 봉합하려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21일 국토교통부와 사전타당성 연구용역을 맡은 프랑스 파리 공항 공단엔지니어링(ADPi)는 정부 세종청사에서 최종보고회를 열고 현재의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 최선이라는 결론을 발표했다.
한편 영남권 신공항 건설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011년 이명박 정부의 신공항 백지화 결정을 비판하고 이듬해 대선에서 재추진을 약속한 바 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