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보육’ 시행에 반발하는 어린이집 1만여 곳이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집단휴원을 단행한다.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한민련)은 이날 ‘맞춤형 보육’ 시행에 반발해 단체 회원 1만4000여 곳 가운데 1만여 곳이 가동률을 평소의 10~20%로 낮추는 축소운영 방식으로 집단 휴원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한민련은 나머지 80~90% 아동에 대해서는 학부모들에게 가정 보육을 하도록 양해를 구했다고 설명했다.
임의로 어린이집 운영을 정지하면 시정 명령을 받고, 이를 어기면 1년 동안 운영이 정지되거나 최악의 경우 시설이 폐쇄될 수도 있는 무거운 행정 처분이 내려질 수 있어서 문을 완전히 닫지 않고 일부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도 지난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일부 어린이집 단체에서 집단휴원을 강행하려 해 매우 안타깝다”며 “부모님과 영유아 보육을 외면한 어린이집의 불법적인 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맞춤형 보육은 0~2세반(만 48개월 이하) 영아에 대한 보육 체계를 하루 12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는 ‘종일반’과 하루 최대 6시간에 필요할 경우 월 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추가 이용이 가능한 ‘맞춤반’으로 이원화하도록 제한하는 제도다.
어린이집들은 이 제도 탓에 수익이 줄어 운영난이 심화될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