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미국의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조치”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8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증대되고 있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우리에게 국가와 국민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며 “북한이 도발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우리나라와 국민이기에 자위적 방어조치로서 사드 배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사드 배치가 ‘자위권적 방어조치’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지난 1월13일 박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해 “우리의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월 추궈홍(邱國洪) 주한중국대사가 “한중 관계가 순식간에 파괴될 수 있다”며 사드 배치에 반발하자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는 북한의 위협에 대한 우리의 자위권적 조치로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결정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양국은 이날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사드 1개 포대를 주한미군에 결정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사드 배치 지역은 이르면 이달 말에 확정될 예정이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