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도시철도 2호선의 안전 운행을 위해 시민 안전 순찰단을 구성, 점검에 나선다. 그러나 시민단체는 “실효성이 떨어지는 정책”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인천시는 5일 ‘우리 마을 안전지킴이 봉사단원’ 중 서구 거주민 2명, 남동구 거주민 2명을 선정해 오는 14일까지 2인1조로 27개 역사와 전동차 등에 대한 안전 순찰 및 점검을 한다고 밝혔다.
‘우리 마을 안전지킴이 봉사단원’은 노후 재래시장, 상가 밀집지역 정비구역 등 재난취약지역의 안전 사각지대를 발굴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인천시가 모집한 시민 봉사단이다. 선발된 주민 4명은 인천도시철도 2호선 안내표지판, 편의시설, 방재, 소방 등과 장애인편의시설, 차량 내부를 점검하고 위험요소가 발견되면 즉각 인천교통공사에 알리는 역할을 맡는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은 지난달 30일 개통 첫날부터 전기가 끊기고 신호장치 고장 등으로 총 6차례 78분간 운행이 중단됐다. 지난 3일 오전 5시55분에는 인천시청역에 도착한 전동차의 출입문 6개가 열리지 않아 승객들이 강제 개방해 탈출하는 일이 발생했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은 무인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출입문 정위치로부터 25cm 내에 정차해야만 문이 열리도록 설계됐으나 65cm 지난 지점에 멈춘 탓이다.
이에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시의회, 전문가, 시민사회 등으로 구성된 ‘인천지하철2호선 민관공동안전검증위원회’ 구성을 제안하고 시운전 관련 자료에 대한 정보 공개를 청구했다.
시민단체는 시민 안전 순찰단이 ‘겉핧기식의 대책’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인천평화복지연대 이광호 사무처장은 “순찰 시행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전동차의 구조적 결함이나 무인 원격제어시스템 등 안전 관련 내용은 빠져있고 편의시설, 안내 표지판 등 표면적 불편함만 해소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무처장은 또 “시민단체와 전문가가 참여해 객관적으로 위험 요소를 점검해야 하는데, 시가 거부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불안함을 해소하기 위해선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전문가는 아니지만 시민들의 눈높이에서 보이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라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기술적인 부분을 모니터링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단체에서 요구하는 민관공동안전검증위원회는 아직 논의된 바 없다”고 덧붙였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