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전국 교수·연구자 2234명이 최순실씨 비선실세 논란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열었다.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전국교수노동조합, 학술단체협의회,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등 교수학술 4단체는 2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헌정파괴와 국기문란을 야기한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는 전국교수연구자 시국선언’을 진행했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박근혜 정권의 권력 사유화와 국정농단의 실체를 고스란히 드러내주는 ‘비선실세’ 사건을 보며 우리는 참담함과 자괴감을 감출 수 없었다”면서 “박 대통령이야말로 국정농단의 주역이자 최순실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국기를 근본적으로 뒤흔든 공범”이라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은 참회하는 자세로 스스로 모든 진실을 밝히고 최고 공직자의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대통령의 하야를 우리 전국의 교수·연구자들은 엄중히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대표 발언을 진행한 민교협 송주명 상임의장은 “짧은 기간 전국의 지식인들이 대거 서명에 참여한 것은 현재 시국이 얼마나 엄중한지를 보여준다”면서 “자격을 상실한 박 대통령은 즉각 퇴진하고, 대통령의 헌정파괴 및 혼란을 엄호해온 새누리당 즉각 해체해야 한다”고 규탄했다.
김귀옥 한성대 교수도 “대통령은 헌법 69조에 따른 ‘대통령의 헌법 준수 의무’를 지키지 않고 외려 파괴했다”면서 “일말의 부끄러움을 갖고 있다면 국민과 법 앞에 책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오전 박 대통령이 김병준 국민대 교수를 국무총리로 임명한 것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지속가능한사회연구소 허상수 소장은 “김 교수는 지난날 참여정부 시절 교육부총리로 인선됐으나 표절 논란으로 장관직을 수행하지 못했던 사람”이라면서 “여당이 끌어내린 사람을 다시 총리로 임명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들끓는 분노를 진정시키려는 얼치기 해법을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하야를 위해 지속적인 행동을 벌이겠다는 향후 계획도 발표됐다.
송 상임의장은 “전국의 교수·연구자들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비상시국회의를 조직해 2, 3차 시국선언 등의 행동에 나설 것”면서 “오는 11월12일 열릴 민중총궐기에도 참여해 대통령의 하야를 원하는 지식인들의 의지를 밝히겠다”고 전했다.
이번 시국선언은 지난달 27일부터 1일까지 5일간 전국 대학 및 연구기관 종사자들의 서명을 받아 이뤄졌다.
국내 대학 교수 2104명과 연구기관 및 단체 소속 연구자 107명, 국외 연구자 23명이 이번 선언에 동참했다.
시국선언을 마친 교수·연구자 50여명은 광화문광장에서부터 청와대 인근의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지난달 26일부터 성균관대·한양대·청주대학교·경북대학교·광운대학교·가톨릭대학교 등 개별학교에서 박 대통령에게 국정농단의 책임을 묻는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 31일 긴급체포한 최씨에 대해 이날 오후 2시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