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42개 시민단체 “한반도 재침탈 길 여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즉각 중단하라”

[영상] 42개 시민단체 “한반도 재침탈 길 여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즉각 중단하라”

기사승인 2016-11-14 12:47:17 업데이트 2016-11-14 13:06:46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42개 시민단체가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추진에 대해 규탄했다.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평통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여성연대, 한·일군사협정반대 국민행동 등은 14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3차 실무협의에 즈음한 기자회견’을 열고 “온 국민의 이름으로 매국적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가서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번 협정 체결은 일본의 한반도 재침탈의 길을 트는 것이자 한국이 미·일의 대중국 전선에 가담하는 일”이라며 “나라의 자주독립과 통일의 미래를 미·일에 팔아먹는 매국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평통사 오미정 사무처장은 “지난 11일 광화문 광장에 모인 100만 인파를 보면 알 수 있듯 대한민국 국민은 박근혜 대통령을 이미 정치적으로 탄핵했다”면서 “일본에 공항·항만 등 지리적 정보와 군사·경제적 기밀을 넘기는 협정을 강행하는 것에 분노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협정이 통과되면 평화헌법을 위반하고 전쟁 법제를 통과시킨 일본에 대한 한반도 진주가 허락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속전속결로 이뤄지는 이번 협정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한국진보연대 최은아 자주통일위원장은 “정부가 지난달 27일 일본과 협상 재개를 발표한 지 불과 20일도 지나지 않았다”면서 “대단히 중요한 현안임에도 국민과 국회의 반대를 무시하고 협정을 강행하는 것은 여전히 소수의 이익을 위한 국정농단을 벌이겠다는 선전포고”라고 주장했다.  

협상 당사국인 일본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통일문제연구소 백기완 소장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한을 선제 공격하겠다는 것은 한반도 침략과 같은 말”이라며 “아베 총리는 까불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일 양국은 이날 일본 도쿄에서 군사정보보호협정 관련 3차 협의를 갖고 최종 체결에 앞서 가서명을 할 예정이다.

한편, 군사정보보호협정이란 체결 당사국끼리 군사 기밀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이다. 

지난 2012년에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이 추진됐으나 밀실협상이라는 비판을 받아 체결 1시간 전 취소된 바 있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