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주치의나 의무실에 알리지 않고 주사 약물 등을 처방받은 것에 대해 비상식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청와대 주치의를 맡았던 연세대학교 허갑범 명예교수는 1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청와대 의무실장과 주치의가 모르는 대통령 진료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면서 “대통령에 대한 진료는 철저히 사전에 조율하기에 이번 사태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행위라는 것은 기록을 남기게 되어 있고 이를 남기지 않으면 의료법을 어기는 것”이라며 “이는 당연한 상식”이라고 말했다.
최순실·최순득씨의 이름으로 박 대통령이 대리처방을 받은 사실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허 명예교수는 “대통령의 위치라는 건 국가원수고 모든 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사람”이라면서 “(정해진) 의료시스템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상례인데 도무지 이해가 안 간다”고 꼬집었다.
박 대통령이 처방받은 것을 알려진 ‘태반주사’ 관련 이야기도 언급됐다.
허 명예교수는 “과거 주치의 시절 보약 같은 것이 김 전 대통령에게 선물로 들어와도 ‘절대 드시면 안 된다’고 사전에 말씀을 드렸다”면서 “혹시 모를 효과나 부작용 등을 감안해서 대통령을 진료하는데 (태반주사를 쓴 것은) 참 의아하다”고 전했다.
앞서 차움병원에서 근무했던 의사 김상만씨가 2013년 8월부터 주사 약물을 청와대로 가져가 대통령에게 투여했다는 의혹이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