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시민단체 “롯데, 판매 중인 생활화학제품 전 성분 공개하라”

[영상]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시민단체 “롯데, 판매 중인 생활화학제품 전 성분 공개하라”

기사승인 2016-11-22 13:25:01 업데이트 2016-11-22 13:52:51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가습기 살균제 사건 피해자와 시민·사회단체들이 롯데쇼핑에 “판매 중인 생활화학제품의 전 성분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은 22일 오전 11시30분 서울 용산구 롯데마트 서울역점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살인기업 롯데쇼핑, 생활화학제품 전 성분 공개 촉구 기자회견과 서명캠페인’을 열었다. 

이날 발언에 나선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TF의 정미란 팀장은 “앞서 생활화학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12개 업체에 전 성분 공개 요청을 보냈다”면서 “롯데쇼핑은 지난 15일 ‘관련 자료가 가지는 민감성 때문에 소비자 혼란이 야기된다’며 공개 거부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롯데는 기자회견 일정이 알려진 오늘에서야 PB(자체 브랜드)상품에 한정해 전 성분을 공개하겠다고 했으나 이들의 뒤늦은 대응을 소비자들은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도 “롯데마트와 롯데아울렛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PB상품만 사지 않는다”면서 “롯데가 판매하는 모든 제품에 대한 성분을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롯데마트는 대형 할인마트로서 처음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해 6만8000개가 넘는 제품을 판매했다”며 “롯데에서 제조, 판매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사망자가 22명, 피해자가 66명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생활화학제품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해 가습기 살균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참여연대 가습기살균제참사대응TF 장동엽 선임간사는 “기존의 법으로는 (가습기 살균제를 판매한) 기업들이 제대로 된 처벌을 받지 못한다”면서 “징벌적손해배상제와 집단소송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 선임간사는 미르·K스포츠재단에 롯데가 기금을 출연했던 것과 관련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가해 기업 처벌을 목놓아 외칠 때, 기업 뒤에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이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면서 “시민 생명을 담보할 수 있는 법을 꼭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기자회견을 마친 후 ‘살인기업 처벌하라’ ‘내 아내를 살려내라’ 등의 조끼를 착용하고 롯데마트 서울역사점을 방문하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후 용산구 서울역 광장 인근에서 가습기 살균제 특별법 촉구 서명 캠페인을 진행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현재 애경산업과 다이소아성산업, 헨켈홈케어코리아, 산도깨비 등이 자사에서 판매, 유통 중인 생활화학제품의 전 성분을 공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마트와 홈플러스, 코스트코, GS리테일 등으로부터는 아직 답변을 받지 못 한 상태다.

한편, 현재까지 공식 집계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사망자 920명, 생존환자 3566명에 달한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