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더불어민주당(더민주)과 정의당, 국민의당 등 야 3당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일정에 대해 조율에 나섰으나, 의견 차이만 확인한 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로써 오는 2일 탄핵소추안 본회의 통과는 사실상 무산됐다.
더민주 추미애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1일 오후 2시30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식당에서 만나 박 대통령 탄핵안 처리 시기 및 향후 전략 등을 논의했으나 의견차를 좁히지 못 했다.
추 대표는 이날 회동에 앞서 “새누리당은 오는 9일에도 전혀 탄핵 추진 의사를 갖고 있지 않다”며 “탄핵을 9일까지 지연시키는 것은 오히려 탄핵의 동력을 떨어트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더민주는 200만 촛불민심과 뜻을 함께 하기 위해 조금 전 의원총회에서 2일 가결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정의당도 이날 탄핵 발의를 강조했다. 심 대표는 “국민은 이미 박 대통령을 탄핵했다”며 “야당은 좌고우면하지 말고 오늘 당장 탄핵을 발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 부결의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이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새누리당 의원의 몫”이라며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들은 피의자 대통령이 아닌 국민의 곁에 서달라”고 촉구했다.
다만 국민의당은 “발의가 아닌 통과가 목표”라며 탄핵에 대한 유보적 입장을 시사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만약 내일 탄핵안이 통과될 수 있는 길이 있다면 노력할 것”이라면서 “현재 새누리당 비박계의 태도를 볼 때, 탄핵안 가결에 상당한 안개가 끼었다”고 우려했다. 그는 “비박계를 설득하면서 국민과 함께 이번 정기국회 내에서 탄핵안 가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부연했다.
탄핵 발의를 위한 정족수는 151명이다. 더민주와 정의당은 소속의원은 각각 121명, 6명으로 국민의당이 응하지 않을 시 발의 자체도 불가능하다.
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 등 비박계 인사들은 “박 대통령이 내년 4월 말까지 퇴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오는 9일 탄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청와대는 “‘4월 퇴진’ 등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가 없다”며 “국회의 결정에 따를 것”이라는 입장을 반복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