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시민·사회단체들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일정을 조율하지 못 하고 있는 여·야 정치권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150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박근혜정권퇴진 비상행동(퇴진행동)은 1일 보도자료를 통해 “광장에서 한결같이 즉각 퇴진을 외치는 전국민적 열망은 정치인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듯하다”며 “광장의 민심을 충실히 받들었다면 박근혜의 꼼수에 갈팡질팡하는 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정치권을 규탄했다.
이어 “국회는 박근혜를 즉각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할 모든 수단을 다해야 한다”며 “박근혜 즉각 퇴진을 거부하는 세력은 모두 국민의 심판을 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한 ‘4월 퇴진·6월 조기 대선’이라는 박 대통령의 퇴진 로드맵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도 표명됐다.
퇴진행동은 “(새누리당의 퇴진 로드맵은) 박근혜와 그 공범인 새누리당에 면죄부를 주는 것”이라며 “정치공학적 계산 속에서 그 누구도 성난 민심을 제대로 떠받들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직접 행동에 나서는 시민단체도 있다.
참여연대는 2일 오전 10시 서울 영등포구 새누리당 당사 앞에서 ‘박근혜 즉각 퇴진, 국민의 명령 거부하는 새누리당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난 1일 오후 더불어민주당(더민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 3당 대표들은 탄핵안 일정 조율을 위해 회동했으나,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며 합의가 결렬됐다.
더민주 추미애 대표와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2일 본회의에서 박 대통령 탄핵안 의결을 촉구했으나,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및 원내대표가 “새누리당 비박계의 태도로 볼 때, 탄핵안 가결이 어렵다”며 이를 거부했다. 이후 여론이 악화되자 국민의당은 ‘오는 5일 본회의 의결’을 중재안으로 제시했다.
한편,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들은 오는 9일 표결을 주장하며 국민의당의 중재안 수용 거부 의사를 밝혔다.
soyeon@kukinews.com, 사진=박태현 기자 pt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