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비위 의혹과 최순실(60·구속기소)씨의 국정농단 의혹 전반을 수사할 박영수 특별검사(특검)가 검찰 수사 결과에 구애받지 않고 원점부터 수사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 특검은 “검찰의 수사 기록을 처음부터 다시 보고 원점에서 시작할 것”이라며 “신속한 수사를 위해 검사 3~4명을 파견받아 기록검토팀을 구성해 기록 검토에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미르·K스포츠재단 기금 모금 과정에서 박 대통령의 ‘힘’이 얼마나 작용했는지 꼼꼼히 살피겠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박 특검은 “재단 기금 모금의 본질을 봐야 한다”며 “대기업들이 거액의 돈을 내게 된 과정이 무엇인지, 거기에 대통령의 역할이 작용한 게 아닌지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박 특검의 이러한 발언은 검찰이 수사 중인 박 대통령의 직권남용과 강요 혐의를 넘어 제3자 뇌물수수 혐의에 집중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언급도 있었다. 박 특검은 “서면 조사는 시험 보기 전에 답안지를 미리 보여주는 것”이라며 “반드시 대면조사를 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여러 말을 하다 보면 그 말에서 다른 얘기가 나올 수 있고 단서가 튀어나올 수 있다”며 대면조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박 특검은 특검법에 명시된 14개 수사 대상 외에도 기존 사건과 연관·파생되는 사건에 외연을 넓혀 적극적인 수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월호 7시간’과 박 대통령이 고(故) 최태민씨와 관련, 유사종교에 연루됐다는 의혹도 살필 예정”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또한, 최씨의 국정농단 행위를 비호한 의혹을 받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해외에 머무르고 있는 최씨의 딸 정유라(20)씨 등도 반드시 조사하겠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박 특검은 윤석열 대구고검 검사를 ‘수사팀장’으로 인선한 배경에 대해 “검사장급은 일선 검사들과 너무 거리감이 있기에 수사팀장은 고참 차장검사급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이어 “윤 검사를 정치 검사라고 보는 것은 정말 잘못된 것”이라며 “윤 검사에게 이번 수사를 통해 명예회복을 하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