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 저지를 위해 축산농가 및 관계자, 지자체,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위기 경보도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됐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6일 오전 대국민담화를 통해 “AI 발생 1개월 만에 살처분 마릿수가 1600만 마리에 달하는 등 피해규모가 이전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에 정부는 AI를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 오늘부터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AI 방역대책본부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하고, 전국 모든 시·군에 AI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해 현장 방역 대응체계를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대국민담화를 통해 발생농장 가축의 신속한 살처분과 주변 소독, 필요시 축산 관련 시설 등의 잠정적 폐쇄 조치, 현장 살처분 인력 등 인체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투여 및 개인보호장구 지급, 피해농가에 대한 신속한 정책 자금 지원 등의 대책도 제시됐다.
축산 농가 및 관계자와 국민의 협조도 강조됐다.
김 장관은 “모든 가금류 사육농가에서는 축사를 출입할 때 전용 신발과 방역복을 입어야 하고, 소독을 실시해야 하며, 농가모임 금지 등 방역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며 “가금류가 폐사하거나 산란율이 떨어지는 등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국민은 가금류 사육농장 방문과 주요 철새도래지 출입을 자제하고, 차량 소독과 이동통제 등 조치에 협조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AI 발생 농장의 가금류는 모두 살처분되거나 폐기 처분 되고 있다”며 “시중에 유통되는 닭고기, 오리고기, 계란 등은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 만에 하나 오염되었더라도 익혀 드시면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17일 충북 음성과 전남 해남에서 고병원성 AI(H5N6형)가 확진됐다. 이번 AI 바이러스는 병원성이 강하고 전파속도가 빨라 사상 최대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