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네티즌 ‘자로’가 ‘세월호 잠수함 충돌설’을 제기한 것 관련,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해군 측에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특조위는 28일 특조위 이석태 위원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자로의 주장이 사실에 부합하는지와 별도로, 국민 누구나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가설을 제기할 수 있다”면서 “해군과 군 당국이 참사 당일 세월호 관련 각종 레이더 영상과 항적 자료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국민의 합리적 문제 제기에 대한 올바른 대응”이라고 밝혔다.
앞서 해군 측이 “자로가 공개를 요구한 해군전술정보처리체계(KNTDS) 영상을 특조위에서 이미 확인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한 반박도 있었다. 특조위는 “지난 2월4일 특조위 조사관 3명이 해군 3함대를 방문해 참사 당일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의 KNTDS 영상을 30분가량 육안으로 확인했다”면서 “이것이 원본인지 아닌지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관련 전문가를 통한 검증도 불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까지 해군을 비롯한 각 정부 기관은 참사와 관련된 그 어떤 자료도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고 진상규명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특조위에서 세월호 침몰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했다는 입장도 표명됐다. 특조위는 “과적으로 인한 세월호의 복원성 문제를 포함해, 솔레노이드 밸브 협착 등 기계 오작동 문제, 외력에 의한 침몰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다”면서 “정부의 비협조와 특조위 강제해산으로 최종적 결론을 얻지 못 했다”고 전했다.
특조위는 “세월호의 침몰원인 및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세월호의 온전한 인양과 강력한 조사 권한을 가진 새로운 특조위의 출범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과 안전 관련 제도 개선, 피해자 지원대책 점검 등을 위해 설립된 특조위는 지난 9월30일 활동을 공식 종료했다. 특조위와 세월호 유가족들은 활동 기간 연장을 요구했으나,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부 특조위원 및 조사관 10여명은 “정부의 활동종료 통보 이후에도 조사활동을 지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지난 26일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자로의 ‘세월 X’ 영상의 조회수는 현재 403만건을 돌파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