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친박핵심 1월6일까지 탈당하라” vs 친박 “당 깨자는 거냐”

인명진 “친박핵심 1월6일까지 탈당하라” vs 친박 “당 깨자는 거냐”

기사승인 2016-12-30 14:25:42 업데이트 2016-12-30 18:52:55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당 인적 쇄신의 일환으로 친박(박근혜)계 핵심인사들에게 자진 탈당을 요구했다. 이에 친박계 의원들은 “당을 깨자는 것이냐”며 강력히 반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30일 인 위원장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패권적 행태를 보이며 국민의 지탄을 받고 실망을 준 사람들은 오늘의 이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친박계를 압박했다. 

이어 “이들은 4·13 총선에서 국민에게 실망감을 주고, 과반수도 못 얻는 당으로 전락하게 만들었다”면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도 있다. 이들이 져야 할 책임은 자진 탈당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인적청산 대상자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도 있었다. 인 위원장은 “박근혜 정부에서 당 대표를 했던 사람, 정부 주요 직책에 있었던 사람은 대통령을 잘못 모셨다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새누리당 이정현 전 대표와 경제부총리를 역임한 최경환 의원을 지목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 위원장은 “억울한 면이 있겠지만 책임을 지는 애당심과 애국심이 필요한 때”라면서 “탈당 결정 시기는 오래갈 수 없으며 다음 달 6일까지 결단해달라”고 촉구했다. 

‘탈당 대상자에 박 대통령도 포함됐냐’는 질문이 나오자 인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사람 이름에 대해서는 어떤 분인지 말씀드리지 않았고, 박 대통령도 그 원칙에 포함된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인적청산 없이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봐야 소용이 없다”면서 “다음 달 8일 다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제 거취를 포함한 결과를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인 위원장의 인적쇄신안에 대해 친박계 핵심 의원들은 “당의 분란이 초래될 수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친박 핵심, 총선 참패의 정치적 책임자, 박근혜 정부에서 주요 직책에 있던 사람 등 범위가 탈당을 요구한 인사의 범위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한 친박계 핵심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다 나가라는 것은 비박계의 주장이었는데 그렇다면 차라리 그쪽에 가야지 왜 여기로 왔느냐. 당을 쪼개러 왔느냐”고 꼬집었다. 

구체적인 대상자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과 당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가중시켰다는 지적도 일었다. 

한편, 인 위원장은 서울 구로구 갈릴리 교회에서 담임목사를 지냈으며, 지난 2006~2008년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윤리위원장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자문 통일고문회의 고문을 지내는 등 대표적인 친이(친이명박)계 인사로 꼽혔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