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구현화 기자] 가습기 살균제, 아기물티슈, 기저귀, 아기모자. 최근 화학물질로 논란이 된 물품들이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근한 제품이고 또 아기들을 위해 사용하던 제품이다. 민감한 아기들을 위해 제품을 믿고 산 아이엄마들은 황당할 따름이다.
불안에 떠는 엄마들은 맘까페에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며 '자생력'을 강화하기에 나섰다. 맘까페가 주도적으로 정보 공유의 장이 되고 있다. 규제기관에서 제대로 역할을 해주지 않으니 엄마들이 나선 것이다.
유아용품은 어느 용품보다도 깨끗하고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할 품목 중 하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규제 기관인 기술표준원, 환경부와 소비자원 등 정부 당국은 그동안 화학물질 분야의 제대로 된 규제에 대해 '사후약방문' 수준의 제재를 취해 왔다. 제품 허가 시에 충분한 검사를 거치지 않고 이미 시판한 후에 검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대표적이다. 또 아기물티슈 분야에 아기스와 그린핑거는 메탄올 과다함유로, 몽드드는 일반세균이 기준치의 4000배를 넘어서서 지탄의 대상이 됐다. 여기에 크록스키즈, 자라키즈 등 주요 키즈 모자와 장화는 내분비를 교란시키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인후염을 유발하는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이러다보니 이미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놀란 가슴은 솥뚜껑을 보고도 놀란다. 맘까페 등지에서 제초제 등의 성분이 포함돼 있다는 팸퍼스 기저귀나 세슘이 검출되었다는 압타밀 분유가 논란이 된 것도 소비자들이 알음알음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더욱 두려움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유아용품에 대해 관심을 가진 소비자들은 더욱 구매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저렴한 게 안심되지 않으니 더 비싼 유아용품으로 쏠리는 악순환이 생기기도 한다.
이제 엄마들의 정보 공유보다는 정부 주도로 제대로 된 품질 관리가 필요하다. 이미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 등으로 눈이 높아질 대로 높아졌다. 최근의 논란들을 보면 까다로운 유럽의 환경 규제가 그대로 실현되어도 될 상황이다. 한국의 규제 수준은 아직도 빈틈이 너무 많다. 정부 규제 기관도 소비자들만큼 눈을 높여야 할 때다.
kuh@kukinews.com